서경동 극단 헤르메스 연출가 |
필자는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공연장을 많이 찾아다녔다. 동화 이야기부터 만화 캐릭터까지 다양한 소재의 공연을 봤다. 어쩌면 어릴 적 관람의 경험이 지금 연극이나 전시 콘서트 등 두루두루 다닐 수 있는 계기를 아이들에게 만들어줬을지 모른다. '책을 사고 여행을 가고 공연장을 가는 것에 돈을 아끼지 마라'가 나의 교육철학 중 하나다.
어린이날은 올해 100주년을 맞았다.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공연의 경험이 필요하다. 아동극은 예술교육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상업적으로만 시선을 돌릴 수 없다. 물론 공연을 만드는 사람의 목적이 다 같을 순 없지만, 아동극이 가진 힘은 예술의 경험하는 첫 단추로 봐도 무방하다. 미래를 끌어나갈 어린이들의 정서적 지원을 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만 봐도 예술 경험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일이다.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갈 세대에게 예술을 통한 경험을 쌓게 해주는 것은 예술이 가진 기능 중에 교육적 가치로 활용된다. 연극의 다양한 창조에서 아동극이 정당한 재료로서 예술적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아동 연극이 살아남을 자리가 충분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현재 아동극단을 운영하는 한 관계자는 '대전에서 아동을 위해 교육 형태에서 아동극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현장에서 교육하다 아동극이 필요하다는 걸 느껴서 아동극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상업적으로만 보는 것이 안타깝다. 포괄적으로 넓게 보면 예술교육학과 카테고리 안에서 아동 공연예술과 자체도 없다. 그리고 문화재단의 다양한 지원 형태에도 아동뿐 아니라 청소년의 지원도 전무후무하다. 서울은 희곡 공모에서 공연을 만들 수 있는 지원이 있지만 대전은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대전에서 다양한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극이 나왔으면 좋겠다. 아이들이 접하게 되는 예술의 시각이 다양해지길 원한다. 그러려면 만드는 극단이 있어야 하는데, 갈수록 열악해지는 환경으로 사라지고 있는 걸 보고 있다. 대전 어린이 축제를 만들고 활성화를 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어린이·청소년 공연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해주고 함께 고민해줬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몇 년 전 중학교 수업을 하던 나에게 학교에서 단체 관람을 의뢰했다. 당시 공연날짜와 관람 날짜에 학생들에게 권유할 공연이 많지 않은 것을 알게됐다. 대전에는 청소년 문화예술 관람비 지원이라는 좋은 시스템이 있다.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행한 제도다. 대전에 청소년을 둔 부모로서도 공연하는 사람으로서도 자랑할 만한 정책이다. 하지만 공연장이 있는 극단에서만 통용된다. 청소년을 위한 작품으로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물론 다양한 공연을 접하는 것도 경험이 되지만, 청소년들에게 중점이 맞춰진 공연이 필요한 시점에서 청소년 공연이 없으니 일반 공연을 관람한다는 소비 통로는 몰아주기식 밖에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을 수 있다. 청소년 공연예술 자체를 찾기 어려운데 전문극장이 있을 리 만무하다.
대전뿐 아니라 우리나라는 국립 어린이 청소년극장이 없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극단 부지인 서울 용산구 서계동에 복합문화시설을 조성하고 공연장 건립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립 어린이 청소년극장의 필요성과 어린이·청소년 연극의 시선이 연극계의 쟁점이 되고 있다.
어린이·청소년 연극의 영역이 확장되었으면 좋겠다. 다양한 형태의 공연, 다양한 지원, 그리고 전용 극장까지. 또한 다양한 공연의 영역이 수용될 수 있는, 연극계의 넓은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 어린이는 우리의 미래다. 그러므로 어린이·청소년 연극은 바로 우리의 아이들에게 필요하다. 예술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경험이 늘어나면 그 소중한 경험이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해 줄 것이고 우리 연극계의 미래에 초석이 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