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7강 단장지애(斷腸之哀)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7강 단장지애(斷腸之哀)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06-22 19:21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27강 : 斷腸之哀(단장지애) :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슬픔

글 자 : 斷(끊을 단), 腸(창자 장), 之(~의 관형격 조사), 哀(슬플 애)로 구성됨

출 전 : 세설신어(世說新語) 출면(黜免)편

비 유 : 창자가 끊어질 정도의 큰 슬픔을 비유



사람이 살면서 반드시 경험하게 되는 인간의 타고난 네 가지 감정(喜, 怒, 哀, 樂)이 있다. 그 중 가장 인간에게 가혹한 것이 슬픔[哀]인 것 같다. 슬픔에도 정도(定度)가 있다. 가령 우리는 주위에 함께 있던 사람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가장 크게 슬픔을 느끼게 된다.

옛말에 최고의 슬픔을 천붕지통(天崩之痛/하늘이 무너지는 슬픔)이라 했다. 이는 부모님이나 임금이 돌아가셨을 때의 슬픔을 표현한 말이다.

다음은 고분지통(叩盆之痛/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라고 한다. 이는 아내가 곁을 떠나는 슬픔을 말한다.

다음은 상명지통(喪明之痛/밝음을 잃은 슬픔)으로 자식을 잃었을 때의 슬픔을 말하며 그리고 할반지통(割半之痛/몸의 반을 잃은 슬픔)으로, 형제의 죽음을 맞은 슬픔이다.

아마 한자를 해석해보면 그대로 그 뜻을 이해 할 수 있다. 다만 고분지통만이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인용한 것이므로 다소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

사람에게 당하는 슬픔 중 가장 가혹한 슬픔을 우리는 단장지애(斷腸之哀 혹은 母猿斷腸/모원단장 곧 원숭이 어미의 창자가 끊어지는 고통)로 표현한다. 이는 좁은 의미로는 글자 그대로 창자가 끊어지는 고통이겠지만, 넓은 의미로는 이 세상 무엇보다 가장 가슴 아픈 처절한 슬픔을 뜻한다.

진(晋)나라의 환온(桓溫)이 촉(蜀)을 정벌하러 가는 길이었다. 그들은 전함(戰艦)을 타고 장강(長江/양자강)을 거슬러 가는 수로 중 나무가 우거지고 강폭이 좁았던 한 지역에서, 병사 한 명이 숲 속에서 새끼 원숭이 한 마리를 잡았다. 이 병사는 지루한 항해에서 잠깐의 여흥거리로 삼을까 해서 이 원숭이를 별다른 생각 없이 잡았던 것인데, 장강을 거슬러 가는 삼협(三峽)의 길목에서 내내 어미 원숭이가 새끼 원숭이를 구하러 슬피 울며 따라 오고 있었다.

병사도 그걸 보고 놀라서 새끼 원숭이를 돌려주고자 했으나, 이미 전함(戰艦)은 출발해 움직이고 있었고 강폭은 넓어서 새끼 원숭이를 던질 수도, 어미 원숭이가 거기에 뛰어들 수도 없는 처지가 되었다. 그렇다고 일개 병사가 그런 이유로 전함을 정지하라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그렇게 백 여리를 지나고 나서야 겨우 수로가 좁아지는 길목에 이르자, 이때 어미 원숭이는 죽을힘을 다해 몸을 날려 배로 뛰어들어 새끼를 구하려고 했으나 이미 체력이 소진된 어미 원숭이는 곧 지쳐 쓰러져 죽고 말았다.

병사들이 딱하게 여기던 중 어미 원숭이의 배가 뭔가 이상해서 갈라보니 창자가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기에 다들 매우 놀랐다.

배 위에서 소란이 일어나자 환온(桓溫)은 자초지종을 듣고는 분노해서 병사의 목을 베려 했지만, 그가 곧바로 새끼 원숭이를 돌려주려다 그러지 못했다는 걸 듣고는 "내가 자네를 죽이면 자네의 어머니 역시 창자가 끊어지듯이 슬퍼하다 죽을 것이니 앞으로 다시는 이러지 마라."라고 하며 살려주었다.

며칠 전 모 일간지에 한 사람의 아내와 아들이 절규하는 기사가 실렸다. 권력이 사람의 감정까지도 통제하려고 한 있을 수 없는 언론기사이다.

지난 2020년 9월에 월북(越北)했다고 발표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씨의 아내와 아들의 절규함이다. 무슨 이유인지 조사가 이루어져야 드러나겠지만 이씨의 사인(死因)과정의 잘 못된 발표 때문이다.(조선일보 6월 18일 보도기사)

남편을 잃은 아내, 아버지를 잃은 아들, 이들의 절규를 못 본체한 것만으로도 분노가 치솟는 일인데 왜곡(歪曲)된 발표로 아내와 아들에게 잊을 수 없는 한을 남겼다니…….

듣는 국민들도 분노를 느낀다. 하찮은 짐승(원숭이)도 창자가 갈갈이 찢어지는 슬픔으로 죽어갔는데 인간의 마음이야 평생을 두고 잊겠는가? 권력이 무엇이길래…….

한국에서 단장(斷腸)이란 표현은 6.25 전쟁 당시 이산가족(離散家族)이 크게 늘어나면서 대중화되었다고 한다.

특히 "단장의 미아리 고개"라는 노래 덕분에 단장(斷腸)이라는 표현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이 노래는 6.25 전쟁 당시 철사(鐵絲)줄로 꽁꽁 묶인 채 북한으로 끌려가던 남편과 애달프게 이별하며 평생의 한을 담은 모든 아내들의 노래이다.

이제 곧 민족의 최대 비극이었던 6. 25(72주년)날이 다가온다. 새삼스런 이야기는 아니지만 6월 호국의 달을 단장(斷腸)의 슬픔을 생각하며 오랫동안 기억해야 할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추석 기름값 부담 덜었는데, 왜 충청권만 비쌋을까?
  2. 뉴 라이프 웰니스 유성온천!
  3. 학교 당직근무자 열악한 처우 개선 촉구 "명절만이라도 모두가 평등해야"
  4. 대전서부교육청 "전문상담사도 수퍼비전으로 마음 챙겨요"
  5. 경쟁사를 압도하는 제안서 작성법은?
  1. '아~대전부르스·못 잊을 대전의 밤이여' 대중가요 속 이별과 그리움의 대명사
  2. 귀경 차량들로 붐비는 고속도로
  3. 추석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4. 추석이 지나도 계속된 폭염
  5. 대전 지방세 1억 이상 고액 체납자 69명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의대열풍 현실화… 수시 지역인재전형 4.4배↑

충청권 의대열풍 현실화… 수시 지역인재전형 4.4배↑

2025학년도 충청권 의과대학 수시모집 지역인재 전형에 지난해보다 4배가 넘는 수험생이 지원해 '충청권 의대 열풍'이 현실화 됐다. 다만 충청권 의대 지원자들의 수도권 중복 합격으로 인한 이탈 현상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종로학원이 비수도권 의대 26곳의 2025학년도 수시모집 지역인재전형 접수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충청권에선 374명 모집에 5330명이 지원해 가장 높은 14.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원자 수는 지난해 1213명에서 4.4배 늘었다. 비수도권 전체 26개 의대(단국대 천안 제외) 지역인재전형 지..

대전 지방세 1억 이상 고액 체납자 69명
대전 지방세 1억 이상 고액 체납자 69명

지난해 지방세를 1억원 넘게 안 낸 고액 체납자가 대전에 69명이고, 이들이 안내 총 체납액은 28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종은 33명·78억원, 충남은 111명·241억원, 충북은 70명 14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한병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지방세 체납액 규모는 ▲2021년 3조 3979억원 ▲2022년 3조 7383억원 ▲2023년 4조 593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체납자 상위 0.6%가 전체 체납액의 49.1%를 차지하는 것으로..

성심당 대전역점 유지되나... 입찰 월 수수료 1억 3300만으로 `뚝`
성심당 대전역점 유지되나... 입찰 월 수수료 1억 3300만으로 '뚝'

매달 4억이 넘는 월세로 논란이 됐던 성심당 대전역점 매장 월 수수료가 기존과 비슷한 1억 원으로 낮아졌다. 이전보다 과하게 높아진 월 수수료 탓에 철수까지 고심하던 성심당은 이번 모집 공고로 대전역점 계약 연장의 길이 열렸다. 18일 코레일유통에 따르면 최근 대전 역사 2층 맞이방 300㎡ 임대 사업자 모집 공고를 냈다. 이전까지 5차 공고를 했으나 모두 유찰되면서 입찰 기준을 변경했다. 월평균 매출액 기준액은 22억 1200만 원으로, 월 수수료는 매출 평균액의 6%인 1억 3300만 원이다. 이는 기존 월 수수료 4억 4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귀경 차량들로 붐비는 고속도로 귀경 차량들로 붐비는 고속도로

  • 추석이 지나도 계속된 폭염 추석이 지나도 계속된 폭염

  • 추석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추석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옛 추석은 어땠을까?’ 사진으로 보는 추석명절 모습 ‘옛 추석은 어땠을까?’ 사진으로 보는 추석명절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