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뻥이요 찾아 삼만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뻥이요 찾아 삼만리

  • 승인 2022-06-15 13:46
  • 수정 2022-06-15 17:39
  • 신문게재 2022-06-16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000083732222_i1_1200
신세계몰 제공
지난 금요일 아침 일찍 보문산에 갔다가 오는 길에 금요장터에 들렀다. 테미삼거리에서 충남대병원 쪽으로 조금 가다보면 튀밥장수 할아버지가 자리를 잡고 있다. 할아버지는 언제나 한가롭다. 의자에 앉아 팔짱을 끼고 졸기 일쑤다. 그런데 이날은 손놀림이 바빴다. 튀밥 튀기는 기계가 쉴새없이 돌아갔다. "터져유." 할아버지의 외침과 함께 '퍽' 하는 소리가 났다. 튀밥이 양철 함지박에 우르르 쏟아졌다. 쌀과 누룽지가 반반씩 섞였는데 노릇노릇한 것이 먹음직스러웠다. 앞에서 기다리던 할머니가 튀밥을 뒤적거리며 중얼거렸다. "좀 탔는디?" 할머니가 누룽지 튀밥 서너 개를 먹어보라고 구경하는 내게 건넸다. 바사삭 바사삭. 오우, 고소하고 담백하면서 씹히는 맛이 살아있었다.

지금은 먹을 게 넘쳐난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시골은 밥밖에 없었다. 시골이니까 농사를 짓기 때문에 밥은 먹을 수 있었다. 아이들에게 밥은 맛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뭔가 색다른 주전부리에 목이 말랐다. 유일한 간식거리는 튀밥. 설에 먹고 남은 흰떡을 똑똑 부러지도록 바싹 말려 쌀과 함께 튀기면 최고였다. 500년 된 두 그루의 우람한 정자나무 아래서 놀다가 튀밥장수 할아버지가 리어카를 끌고 동네에 들어서면 아이들은 함성을 지른다. 이 집 저 집에서 자루를 들고 달려나와 먼저 온 순서대로 깡통에 튀밥재료를 담아 순서대로 놓는다. 이런 날은 정자나무 아래가 장터가 된다. 아이들은 들떠서 얼굴이 상기되고 어른들도 덩달아 즐겁다. 다만 한 가지 무서운 게 있다. 뻐엉! 튀밥장수 할아버지가 신나게 돌리던 손을 멈추고 한쪽 발을 기계 주둥이에 올려놓으면 우리는 저만치 도망가 두 손으로 귀를 있는 힘껏 막는다. 천지가 진동하는 소리다. 사카린을 듬뿍 넣은 튀밥. 추억의 간식거리다.

점심 먹고 난 후의 오후는 고역이다. 졸음은 왜 이리 쏟아지는 지 머리가 모니터를 향해 끝없이 인사한다. 카페인에 민감해서 커피를 마실 수도 없어 졸음을 쫓을 방도가 없다. 졸린 눈을 치뜨고 모니터를 보며 키보드를 정신없이 두드리다보면 어느새 5시. 이때쯤 슬슬 허기가 몰려온다. 어느날 편집국장이 과자 한 박스를 사와 하나씩 돌렸다. 편집국장은 '다 같이 잘 먹고 잘 살자'주의자다. 덕분에 종종 간식거리가 들어온다. 이번엔 '뻥이요'였다. 이걸 먹어본지가 언제였던가. 그런데 이 과자가 기가 막히게 맛있었다. 달콤한 버터 향이 입 안 가득 퍼지면서 흐느적거리던 뇌하수체를 사정없이 흔들었다. 팥방구리 쥐 드나들 듯 손이 봉지 안을 쉴새없이 들락거렸다. 찔깃한 옥수수가 이 사이에서 바숴지는 쾌감으로 스트레스도 확 날아갔다. 여기저기서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요란했다. 다들 출출했던 모양이었다. 먹는 즐거움을 무엇에 비할쏘냐.

난 먹는 거에 목숨을 건다. 필 꽂히면 한동안은 그것만 먹는다. '뻥이요' 찾아 출바알~. 퇴근길에 내가 사는 동네 마트에 들렀다. 있긴 한데 사이즈가 훨씬 큰 것밖에 없었다. 회사에서 먹은 고만한 크기여야 하는데 말이지. 길 건너 마트에도 없었다. 서너 개의 편의점도 샅샅이 뒤졌으나 짝퉁만 있었다. 어라? 조바심이 났다. 기필코 찾아내고야 말리라. 며칠 후 대형마트로 달려갔다. 헛걸음했다. 회사 건물 1층 마트에도 큰 사이즈 뿐. 난 한번 개봉하면 그 자리에서 다 먹어치우는 탓에 큰 것은 부담스러웠다. 회사에서 먹은 60g 짜리 딱 그만한 크기여야 했다. 다시 동네 마트에 가서 직원한테 손으로 크기를 그리며 요만한 뻥이요를 갖다 놓을 수 있냐며 애절한 눈빛으로 쳐다봤다. "글쎄요." 결국 편집국장에게 부탁해서 또 한번 먹었다. 편집국장도 간신히 구했단다. 아, '뻥이요' 찾아 삼만리구나. 공부를 이렇게 했더라면 서울대 문턱을 거뜬히 넘었을텐데.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