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까지 25만 명이 더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출산 정책을 통해 인구를 늘리는 것보단 생산인구인 청년 유출을 막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한다.
27일까지 취재한 결과, 2022년 4월 기준 대전시 인구는 144만 9360명으로 10년 전(152만 0628명)과 비교했을 때 7만 1268명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5년 새 7만 2839명이 감소했는데 2017년 112만 1762명에서 올해 104만 8923명으로 줄었다. 통계청은 2050년까지 대전시 생산연령인구가 지금보다 4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매년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선 인구 정책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민선 7기 들어 출산과 보육, 청년 관련 예산 역시 증액되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2020년엔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기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발생한 가운데 지난해 대전시에서 야심차게 추진한 대전인구 1만 명 늘리기 프로젝트 역시 성과를 보지 못했다. 대전 소재 대학 재학생 약 13만 명 중 절반이 타 지역 학생인 점에서 기숙사와 원룸으로 전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전주소 갖기 운동'을 진행했지만 흐지부지 됐다.
대전시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문에 각 대학에서 기숙사 운영이 제대로 안 되다 보니 진행이 어려웠다"며 "정상적인 상황이 돼야 성과를 파악할 수 있을 거 같다. 올해 진행은 어렵고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서 다시 추진해보려고 한다"고 해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인구 절벽이 심각해진 가운데 대전시는 올해부터 인구정책팀이 신설해 일자리와 주거, 돌봄, 교육, 성평등 문화 등 6가지 요인을 갖고 관련 사업들을 발굴 중이다. 동구와 중구, 대덕구는 지방소멸위기 위험 지역으로 지정돼 5월 27일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를 위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상태다. 최종 결과는 8월 말에 나온다.
전문가들은 출산·보육 정책을 통해 인구를 늘리는 건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대전의 경우 19개 대학을 통해 유입되는 청년 인구가 많은 만큼 정착할 수 있는 방안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권선필 목원대 교수는 "이미 인구 감소 문제는 되돌리기 어려운 문제가 됐다"며 "인구 감소에 따른 위기 요인들을 빨리 찾아 각종 공공서비스를 전환하는 게 필요하고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이나 유인책을 마련해야 하지만 안 되는 실정인 만큼 청년들의 유출을 막는 데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곽현근 대전대 교수는 "지금은 베이비붐 세대들이 청년 정책을 얘기하다 보니 청년들의 피부에 와 닿는 정책들이 나오지 못하고 있다"며 "청년 정책 문제는 청년의 눈높이에서 바라봐야 하기 때문에 정책을 만들 때부터 청년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청년 인구 등 인구 정책에 있어 대전시와 자치구가 개별적으로 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자치구끼리 경쟁하거나 대전시와 자치구가 수직적으로 가는 것이 아닌 수평적으로 연합이 돼서 같이 고민해야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