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장애인 단체 등 사회단체에선 취약계층의 의료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며 자치단체장 후보들의 정책 반영과 당선 후 적극적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25일 보건복지부의 지자체별 노숙인 진료시설 현황(2021년 12월 기준)에 따르면 대전 내 노숙인 진료시설은 종합병원 1곳, 일반병원 1곳으로 총 2곳이다.
이에 반해 부산은 11곳으로 조사됐다. 부산의 인구수가 많은 만큼 진료시설 또한 많을 수 있지만, 비율로 따졌을 땐 대전의 시설은 상당히 적은 수준이다. 이밖에 지역은 전북 10곳, 경북 6곳, 충남 6곳, 강원 6곳, 충북 2곳으로 확인됐다.
물론 지역 내 노숙인들이 5개구 보건소에서도 진료를 받을 순 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보건소 기능이 멈췄고, 현재도 재가동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므로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2곳 뿐이다. 노숙인 의료 공백이 여실히 드러난 수치다.
노숙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취약점도 드러났다.
코로나19가 한창인 지난 3월, 대전의 한 노숙인이 확진 판정을 받고도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하지 못해 이틀간 다리 밑 텐트에 방치된 적이 있다. 당시 대전시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30% 미만이었지만 지자체 담당자는 "자리가 없다"라며 입소를 미뤘다. 노숙인의 현실이 반영된 일화다.
노숙인 뿐 아니라 장애인도 진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7만 명이 넘는 장애인이 대전에 거주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건강검진과 치과와 산부인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은 단 한 곳씩에 그치고, 이마저도 홍보부족으로 해당 병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등 장애인들의 의료 환경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장애인 단체 등 사회단체에서 취약계층 의료공백 해소에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다.
대전의 한 사회단체 관계자는 "취약계층의 의료 사각지대는 여전하다.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고 방치된 노숙인들이 수두룩하다.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 적은 원인일 수도 있다"라며 "노숙인 뿐 아니라 장애인도 마찬가지인 상황으로 지역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 자치단체장 후보들은 노숙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현실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