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지역의 출생아 수도 점차 감소해 0.81%에 불과한 가운데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지원에 관심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23일 취재 과정에서 확인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통계자료를 보면 2021년 대전의 경력단절여성 수는 3만 9563명에 달한다. 그중 35세에서 39세 경력단절 여성이 1만 0593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경력단절여성이 되는 이유로는 결혼준비와 육아가 많이 꼽혔다. 2020년 통계청 조사 결과, 대전의 전체 경력단절여성 중 40.4%가 육아, 32.1%가 결혼 준비, 18%가 임신, 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뒀다. 이렇다보니 경력단절을 우려해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여성들이 늘면서 경력단절 여성 지원 확대에 대한 목소리가 크다.
현재 대전시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와 대전여성인력개발센터와 협력해 경력단절여성에게 취업상담, 직업교육 훈련, 인턴십,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본예산 기준 국·시비 매칭을 통해 약 23억 원을 투입했으며 올해 예산은 약 25억 원이다.
하지만 2021년 지원 사업을 통해 재취업한 여성 수는 3597명에 불과하다. 전년(3378명) 대비 증가하긴 했지만 여전히 취업자 수는 10%도 못 넘는 현실이다. 대전에 여성새로일하기센터 3곳이 운영 중인 가운데 경력단절여성에게 인턴십 지원을 하고 있지만 수혜자는 257명이다. 1인당 380만원 씩 지원으로 인턴 채용기업에 320만원, 인턴에게 60만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대상 기업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전여성새로일하기센터 관계자는 "지난해 참여기업은 67곳이었고 인턴종료 인원 110명 중 정규직으로 전환된 인원은 103명"이라며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높지만 대전에 5인 이상 기업체가 별로 없어 참여 기업을 찾기에도 쉽지 않다"고 했다.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재취업률을 높여야 하는 가운데 이번 지방선거에서 후보자들의 공약이 출산과 보육에만 집중돼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류유선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장 큰 문제는 대전에 경력단절 관련 실태조사가 하나도 없다는 것"이라며 "중앙에서 경력단절여성 통계가 나오긴 하지만 대전에 대한 자료 비중이 너무 작다. 지역의 특성이라는 게 존재하는 만큼 지역에서 근본적으로 경력단절여성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실태조사부터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