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와 제휴는 맺고 있으나 플랫폼에 등록된 매물 건수는 0건일 정도다. 대전시는 빈집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해명했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2020년부터 '공가랑'이라는 빈집 거래(빈집은행)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빈집 실태조사가 진행된 지역의 빈집 매물 정보를 제공해 빈집 소유주와 매입을 원하는 소비자를 연결한다. 현재 제휴를 맺고 있는 지자체는 서울과 대전, 세종, 충북, 경기, 경남, 전남, 울산, 전북, 강원, 제주 등이다.
'공가랑' 빈집 거래 플랫폼 모습 |
반면 전북 전주는 169곳, 군산 148곳, 김제 119곳, 울산 106곳 등이 매물로 등록된 상태다. 전주시 관계자는 17일 "플랫폼을 보고 빈집 거래를 원하는 사람들이 전화상으로 문의를 많이 한다"며 "빈집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홍보해 1년에 50개 이상은 플랫폼에 등록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공가랑에 빈집 매물이 등록되는 방식은 LX가 지자체로부터 빈집 실태조사를 위탁받아 조사를 진행한 후 소유주들의 일괄 동의를 받아 등록하거나 지자체가 빈집 등록을 원하는 소유주를 조사해 LX 측에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매매를 원하는 소유주가 직접 LX에 등록을 신청한다.
대전시와 5개 자치구는 2018~2019년에 LX에 실태조사를 의뢰한 바 있지만 플랫폼이 구축되기 전이라 대전시와 각 구에서 소유주들에게 홍보를 통해 동의 여부를 묻고 등록해야 한다.
하지만 빈집 거래 플랫폼이라는 제도적 장치가 있음에도 활용하지 않아 대전시의 빈집 대책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그동안 빈집 소유주들에게 홍보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며 "앞으로 적극 활용 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빈집 거래 활성화를 위해선 단순 정보 제공뿐 아니라 중개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자은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빈집의 경우 소유주가 빈집을 어떻게 처리할지 몰라서 놔두는 사례가 적지 않다.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선 플랫폼 활용이 필요하다"며 "공가랑의 경우 빈집 매물 정보만 제시하는 상태인데, 거래율까지 높이기 위해선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빈집 직거래 플랫폼을 구축해 민간과 협업해 중개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