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경제교육부 기자 |
더욱이 4차산업시대를 맞아 교육의 방향과 정책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하지만 교육감 선거는 '깜깜이 선거'라는 오명이 선거 때마다 따라 다닌다.
교육감 선거는 우리의 미래인 백년대계 교육 수장을 뽑는 선거로 지자체장 선거에 버금갈 만큼 중요함에도 여전히 관심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교육감이 어떤 교육 철학을 가졌는지는 매우 중요하지만, 교육정책은 자신과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유권자들이 많다 보니 교육감 선거에 대한 관심이 낫은 탓이다. 후보자 이름조차 모르고 투표장에 가는 이들도 많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도 교육감 선거가 '그들만의 리그'에 머물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번 대전교육감 선거에는 4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3선에 도전하는 설동호 후보를 비롯해 성광진 후보, 정상신 후보, 김동석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설동호 후보는 3선 도전에 나서며, 성광진 후보는 지난 2018년 교육감 선거에 낙선한 뒤 두 번째 출마했다. 정상신 후보는 대전교육 최초 여성 교육감 후보로, 김동석 후보는 교육 행정 경험을 강점으로 선거에 참여했다.
이들 후보들은 일찌감치 정책 공약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얼굴 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이 같은 후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은 교육감 선거에 얼마나 관심을 갖을 수 있을까.
교육감 선거는 정당 공천 없이 기호 추첨제로 진행되는 만큼 유권자들은 각 후보들의 이념과 정책을 딱히 알 수 있는 방법도 없다. 교육감은 일반 자치단체장과 달리 지역 교육계 수장으로서 지역교육을 이끌어가는 중책을 맡은 만큼 명확한 교육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
특히 올해의 경우 굵직한 이슈 조차 없어 이렇다 할 정책 대결을 꼽기 조차 어렵다. 세부적 평가 또는 검증을 위해서는 우선 후보들의 정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돼야 하는데, 선거가 채 한 달이 남지 않은 시점에서도 정책 발표를 미루는 후보들이 적지 않다.
로또 교육감에 대한 지역 학부모들의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책임 있는 공약으로 말하고 이를 입증할 정책을 마련은 뒷전으로 밀린 채 지지자들을 모아 지지 선언으로 세 과시를 하는 모습도 적잖게 눈에 띈다. 인지도가 낮은 데다 눈에 들어오는 공약도 없다면 당연히 로또 행운을 바라는 후보로 인식될 수 밖에 없다.
대전 지역의 경우 동서 교육 격차는 물론 과밀학급, 신도시 학교 설립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각종 교육 현안이 산적해 있다.
유권자들의 후보별 정책 및 교육철학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백년대계'라 불리는 교육. 이번 교육감 선거에 유권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자명하다.
박수영 경제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