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DB |
지역 내 중·상급 치과병원 부족으로 인해 지역 환자의 타 지자체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 등에서 치과 인프라 확대가 필요하다고 공통된 의견을 내는 이유다.
지역 의료계에선 치과 인프라 확대에 대한 지역 사회의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지역 치과 개원의들의 반발이 거셀 것이라 전망하면서 인력 순환 구조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치과의사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야 한다고 조언한다.
12일 공공데이터포털의 '대전지역 병원급 치과 현황'에 따르면 지역 내 병원급 치과는 총 6곳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인구가 145만 명이지만,중상급 병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치과병원이 6곳에 불과한 것이다. 이에 반해 대전과 인구수가 가장 비슷한 광주(144만)는 총 14곳의 병원급 치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 인구에 비해 지역 중·상급 병원이 터무니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의원급 치과는 자치구 마다 40~50곳 가량이 있어 시민들의 의료 접근성이 나쁘다고 할 수 없지만, 중증 질환 발생시 지역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치과병원이 적다는 점에서 부족한 치과 인프라가 지역 환자 유출을 가속화 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충청권 환자 진료 현황에 따르면 매년 6만 명 가량의 대전 거주민이 타지역 치과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히 살펴보면 2017년 기준 대전 거주민 중 타지역에서 치과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서울 1만 5652명, 부산 1470명, 인천 1596명, 대구 1481명, 광주 1271명, 울산 565명, 경기 9934명, 강원 1365명, 충북 5593명, 충남 1만 2510명, 전북 2934, 전남 953명, 경북 1768명, 경남 1446, 제주 464명으로 총 5만 9002명이 타지역 진료를 받았다. 이는 대전지역 치과 환자의 10분의 1 수준으로 상당수가 원정 진료를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치과대학병원이 있는 서울, 충남 등으로의 유출이 가장 많았다. 이 같은 지역 환자 유출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여서 지역 치과대학 신설 등이 필요하다는 지역 사회의 공통된 의견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치과대학 신설 등 인프라 확대에는 어려움이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치과 인력 확대와 치과대학 신설의 필요성을 공감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의료계에서는 치과 인프라 확대에 대한 지역 사회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지역 정치권 등에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해 치과의사들과 복지부의 공감을 이끌어 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역의 한 치과의원 관계자는 "개원의들의 업계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특출난 방안이 마련된다면 치과대학 설립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지역의 저명한 개원의를 신설될 치과대학병원 교수로 채용하는 선순환 구조 확립 등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제시하는 것이 신설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