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
이름만 들어도 심기가 불편해지는 그 이름을 최근 또 듣고 있다. 대전에 오랜 전통을 가진 고등학교에 '전두환대통령각하방문기념' 표지석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지난해 한 시민이 자신이 곧잘 찾는 학교에 전두환의 흔적이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시민단체에 제보했다. 시민단체에 따르면 당시 그 시민은 분개한 상태였다고 하는데 그도 그럴 것이 학생들이 오가며 쉽게 볼 수 있는 화단에 떡하니 그 흔적이 세워져 있었다. 표지석에 당시 각하가 왜 방문한 건지에 대한 설명이 없어 1981년 9월 25일 당시 신문을 찾아보니 그때 전두환은 "16대 기능경기대회가 열리고 있는 충남기계공고에 들러 홍○○ 대회장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뒤 소퍼 만들기, 제화, 선반 등 분야별 대회장을 둘러보며 참가 선수들을 격려했다." 학교 방문에 앞서선 연구단지에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과학기술자와 점심을 먹었다는 기록도 있다.
2020년 5월 29일 국가보훈처는 전두환이 쓴 국립대전현충원 현판을 떼고 안중근 서체로 바꿔 달았다. 전두환 친필 현판을 교체한 것을 놓고 김창근 대전충청5·18민주유공자회장은 "학살자 전두환에 대한 국민 정서를 감안하고 현충원의 장소적 의미와 역사성을 감안한 국가보훈처의 결단"이라고 평가했다. 오랜 시간 현판 교체를 요청한 뒤에 응답했다는 점에선 늦게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라는 정도로 여기는 이들도 있다. 분명한 건 역사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당연한 일이 당연하게 되는 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다.
5·18민중항쟁기념대전행사위원회를 비롯한 지역 시민단체는 공립학교 정원에 이런 기념물이 세워져 있다는 사실을 규탄하며 대전교육청 앞에 섰다. "전두환이라는 반인도적 범죄자가 남긴 오욕의 역사를 바로 세워 역사정의를 실현하고 후대에 올바른 역사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고양하기 위해서도 전두환을 미화하고 찬양하는 모든 기념시설물 철거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당장 철거와 함께 지역 모든 학교를 조사해 이런 시설물을 없애야 한다고도 소리를 높였다. 2020년 충북교육청이 전직 대통령 관련 모든 교육시설을 전수조사해 공립학교 7곳에 남아 있던 전두환의 흔적을 지운 것을 예로 들며 늦었지만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취재를 하고 기사를 쓰며 대전교육청이 전두환 방문기념 표지석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사실이 당황스러웠다. 알면서 그대로 방치했다는 것인가 싶고 학생들은 그것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걱정이다. 박정희와 노무현 대통령 방문기념비도 함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는데, 그래서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한 전두환과 두 전 대통령의 흔적을 함께 둬도 된다는 말인가 잠깐 생각했다. 무엇이 옳은 일인지, 무엇이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인지 누구보다 가장 잘 알고 있을 이들이 전향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