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원기 경제교육부 기자. |
있을 때 소중함은 잘 모른다고 했던가. 1997년 IMF 파고에 휩쓸려 사라진 충청은행의 부재는 역외유출이란 큰 덩어리로 다가왔다. 통계청의 '2019년 지방계정(확정치)'를 보면 충남의 역외유출은 23조 5958억원으로 17개 시·도 중 1위다. 충북 역시 12조 7040억원으로 4위다. 역외유출이 크다는 건 지역에서 돈이 돌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감을 의미한다. 지역 살림살이의 축인 중소기업들의 자금도 적신호가 켜졌다고 한다. 현재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의무비율은 40%인 데 반해 지방은행 중소기업 대출 의무비율은 60%다. 지방은행 부재로 돈을 빌리는 액수가 그만큼 적다는 뜻이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방은행이 없는 곳은 충청과 강원이 유일하다. 이런 지역의 애환이 반영된 것일까.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위는 충남 국가균형발전 목표 15개 정책과제에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명시했다. 충남도가 2021년부터 주도적으로 지방은행설립을 위한 충남도범추진단 발족 등 충청권 지방은행 재건을 위해 힘쓴 결과라 볼 수 있겠다. 도는 지역민 2명 중 1명은 지방은행 설립에 동의한다는 유의미한 조사를 이끌었다. 지방은행 부재로 인해 미치는 악영향과 설립 시 이점 논리가 먹혀들었다고 볼 수 있다.
대전시의 15대 정책 과제인 '기업금융 중심의 충청권 지역은행 설립'과 다른 결을 보인다는 것도 긍정적 신호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대전을 방문해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 금융 중심의 지역은행을 설립하겠다고 했다. 대전과 충남이 따로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우려는 금세 사그라들었다. 대전은 가칭 한국벤처투자은행으로, 충청권 지방은행은 지방은행대로 노선이 다르다는 게 확인되면서다. 가칭 한국벤처투자은행은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한 대출상품, 지분전환 계약 등의 금융상품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 충청권 지방은행은 은행법에 따라 대전·세종·충남·충북 4개 지역을 기반으로 일반 예·적금과 대출 등의 역할을 맡는다. 교통정리가 명확히 된 셈이다. 지방은행을 재건을 희망하는 이들은 현재까지 진행된 흐름이 이어지길 고대한다. 자신의 경제관념을 일깨웠고, 자녀들의 경제관념을 일깨워 줄 그날을 고대한다고 한다. 새 정부가 지방은행을 공약에 그치지 않고 실현하길 지역민들은 기대한다. 방원기 경제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