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진 판사 |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영화 '로마'는 낯선 이국의 가정에서 주인공들이 겪는 가정 내 불화와 억압, 회복을 통해 진한 감동을 전해 준다는 점에서 전자의 측면을 잘 설명해 준다. 로마가 75회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 76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외국어 영화상, 감독상), 91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감독상, 촬영상, 외국어영화상) 등을 수상하고 평론가들뿐만 아니라 관객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은 데에는 영화의 작품성 외에도 영화가 다루는 소재나 주인공들이 견인하는 이야기의 흐름 등을 통한 메시지가 보편성을 지닌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로마는 1970년대 멕시코시티 로마 지역의 중산층 가정을 배경으로 젊은 가정부로 일하는 '클레오'의 시선을 따라 진행된다. 미혼이고 멕시코 원주민인 가정부 클레오와 주인집 의사의 부인이고 네 아이의 엄마인 '소피아'는 서로 인종도, 언어도, 사회적인 지위나 환경도 다르다. 클레오가 먹이고 입히고 재워주는 소피아의 네 자녀도 클레오와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니고 오히려 아이들의 요청에 따라 디저트를 내어 주고 끊임없이 집안일을 하는 클레오의 모습에서 숨김없이 드러난 위계적 관계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가족관계 등에서 얻는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며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해간다. 특히 영화의 포스터이기도 한 장면, 바닷가에서 서로 끌어안고 위로하는 장면에서는 작은 공동체에서 구성원들이 서로 상처를 보듬고 슬픔을 함께 이겨가는 모습을 통해 물결치듯 밀려오는 따스한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로마는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다. 그러나 자전적 이야기에서 자주 드러나는 낭만적이거나 회고적인 느낌은 휘핑크림을 걷어낸 것처럼 덜어져 있다. 주인공들의 모습은 객관적이고 관찰자적인 느낌의 흑백 화면을 통해 드러나고 이야기를 견인하는 방식도 담담하고 절제된 듯하다. 이러한 감독의 예술적 기법이나 함축된 장치를 통해 영화를 보며 감독 개인의 추억 속 가정을 따라가는 데에 그치지 않고 각자의 가정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투영할 수 있게 된다.
주인공들의 깊은 슬픔이 안타까워 가슴 한 귀퉁이가 먹먹해지고, 파도와 같은 클라이맥스를 거쳐 소피아와 자녀들, 클레오를 볼 때는 서로 간의 끈끈한 유대감과 사랑이 느껴지는 그들의 모습을 통해 안식처가 된 가정의 모습이 주는 진한 감동을 느낄 수 있다. 사전적인 의미의 가정은 아니겠지만, 그들의 모습은 형태와 무관하게 보편적으로 가정에서 기대할 수 있는 모습과 차이가 없어, 가장 가정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누구나 출생과 혼인, 입양 등을 통해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생활한다. 그러나 가정의 모습도, 각자가 바라는 가정의 형태도 모두 다를 것이고 가정 내 분쟁으로 상처를 받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가사소송법은 인격의 존엄과 남녀평등을 기본으로 가정의 평화나 친족 간에 서로 돕는 미풍양속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고자 가사에 관한 절차의 특례를 규정하고 있다.
가사사건의 특수성을 고려해 전문법원으로서 설립된 가정법원은 법률적인 판단 외에 후견·복지적인 요소도 참작해 분쟁 해결을 모색한다. 분쟁 원인과 경위, 당사자들의 의사 등은 실로 다양하지만, 분쟁으로 인한 상처를 최소화하고 가능한 건설적으로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은 있을 것이고 공정한 재판을 통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는 것이 가정법원의 역할일 것이다.
로마의 마지막 장면에서 카메라는 옥상을 거쳐 하늘을 비춘다. 연대와 사랑으로 상처를 극복하고 희망을 향해 나아간다는 메시지를 담은 장치라고 해석하고 싶다. 모든 가정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기원해본다. 상처나 슬픔을 겪는 가정이 있다면 가정 내 갈등과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해 구성원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안식처로 거듭나기를 기원해본다.
/김효진 대전가정법원 사법행정지원 법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