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부타령> 가사이다. 이성간의 사랑을 이보다 더 잘 정리해 놓은 것이 있을까 싶다. 내가 나를 모르는데, 넌들 차마 어이 알랴. 한 여자, 한 사람도 이해한다고 장담할 수 없다. 하물며 사랑을 어찌 알랴. 다만, 여성의 사랑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어렴풋이 알 것 같다. 예전에 주장한 삼종지도(三從之道)는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였다.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결혼하면 남편을 따르고, 남편을 잃으면 아들을 좇으라는 것이다. 지금 보자니, 남자는 어려서 어머니 사랑으로 성장하고, 결혼하면 아내의 사랑으로 살고, 혼자가 되면 딸내미 사랑으로 살아간다. 삼수지애(三受之愛)이다.
공부할수록 모르는 것이 많아지는 것처럼, 함께 할수록 모르는 것이 인생사 아닐까? 그런 이야기를 담은 그림 하나 감상해보자. 신윤복(蕙園 申潤福,
신윤복 작 월하정인. 지본 담채, 세로 28.2㎝ × 가로 35.2㎝, 간송미술관 소장 |
맞배지붕 기와집에 규격화 된 벽돌로 쌓은 담장이 길게 늘어서 있다. 울안에 나무도 잘 가꾸어져 있는 모습이다. 당시로서는 예사 민가가 아니다. 달이 실눈으로 담장 너머를 훔쳐본다. 거기에 쓰개치마 쓴 여인과 의관을 정제한 남자, 두 정인이 밀어를 속삭이고 있다. 차림새가 보통 신분이 아니다. 보기에 사내는 어디론가 가자하고, 여인은 망설이는 듯 보인다. 서로의 마음을 어찌 알랴.
2011년 천문학자 이태형((李泰炯, 1964.12.11. ~ 천문우주기획 대표이사)은 초승달이 위로 볼록할 수 없다는 점을 들어, 월식을 그린 그림이라고 주장 했다. 2019년 고증도 했다. 승정원일기 관측기록 등을 참고하니, 신윤복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두 번의 부분 월식이 있었다고 한다. 1784년 8월 30일과 1793년 8월 21일 이다. 1784년 해당 일에는 비가와 달이 보이지 않았을 것이니, 1793년 8월 21일 상황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흥미진진한 연구임에는 틀림없으나, 이 그림은 모두 상징으로 되어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화제를 보자 "달 흐릿한 깊은 밤, 두 사람 심사는 두 사람만 알리라(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이다. 삼경은 자시, 즉 밤 11시에서 이튿날 1시 사이로 한밤중을 의미한다. 바닷가가 아니고서야 달의 위치도 너무 낮다. 삼경의 상징으로 달을 차용한 것 아닐까? 정인(情人)은 남몰래 정을 통하는 남녀 사이 서로를 이르는 말이다. 다른 사람 눈에 띌까 조심스러운 상황인데 등불은 왜 켜는가? 사내가 들고 있는 등도 그저 야밤임을 암시하는 장치 아니겠는가? 달이 떠있는 하늘만 어둡지 어두운 곳이 하나도 없다. 건물, 나뭇잎, 담장, 인물 등 모두 선명하기 이를 데 없다. 우리는 초승달과 등불 덕에 거리낌 없이 한밤중으로 인식한다. 두 사람을 아무도 보지 못하는 것으로 느낀다.
화제의 둘째 행은 김명원(酒隱 金命元, 1534 ~ 1602, 조선 문신, 좌의정)의 시 <별리(別離)>에서 가져 왔다고 한다. 별리의 내용은 이렇다. "창 밖 깊은 밤 가는 비 내릴 적에 / 두 사람 심사는 두 사람 만 알리라 / 애틋한 정 아쉬운데 하늘이 밝아오니 / 비단 옷깃 부여잡고 뒷날을 기약하네 (窓外三更細雨時 兩人心事兩人知 歡情未洽天將曉 更把羅衫問後期)"
별리를 그린 시의도(詩意圖)라면 연인이 꼬박 밤새우고 작별하는 순간이다. 삼경은 한밤중이 아니라 온 밤이 된다. 외간 남자를 불러들였던 모양이다. 비 그치고 날이 밝아오자, 옷매무세 바로하고 길을 나선다. 고개 든 조각달이 이별하는 연인을 훔쳐본다. 못내 아쉬워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다. 갈팡질팡한다. 밤새 나눈 언약도 의미가 없다. 각기 자신의 마음만 되새기고 있다. 애꿎은 등불만 타들어간다.
작가가 숨긴 이야기를 모두 찾아내기는 어렵다. 애호가가 많아, 다수의 감상문을 읽어볼 수 있었다. 천차만별이다. 특별한 상상력도 많다. 필자 생각 몇 가지를 적어 보았다. 보기에 따라서도 그 차이가 크다.
예술작품뿐이 아니다. 인격체 하나하나에 얼마나 많은 희로애락이 담겨있으랴. 그것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누구나 존중 받아야 할 마땅한 이유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