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밀가루 전쟁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밀가루 전쟁

  • 승인 2022-04-20 13:42
  • 신문게재 2022-04-21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309972442
게티이미지 제공
"오늘 점심은 칼국수 어때? 얼큰한 공주칼국수나 바지락 넣은 시원한 칼국수도 좋고.", "짬뽕이 당기는데?", "아냐, 오랜만에 짜장면 먹을까? 곱빼기로." 점심을 먹고 식곤증으로 감기는 눈을 부릅뜨고 모니터를 보며 자판을 두드린다. 어느새 4시 50분. "피자 왔습니다." 배달원이 양 손에 피자 보따리를 들고 들어선다. 꺼진 배를 문지르며 침을 꼴깍 삼킨다. 두툼한 도우에 치즈가 듬뿍 올라간 뜨거운 피자를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먹어치운다. 매콤한 불고기피자도 한 조각 꿀꺽! 다시 배가 빵빵해졌다. 다섯 조각 먹었나? 이걸로 저녁을 해결한 셈이다. 오늘 하루는 밀가루 음식으로 배를 채웠다. 우리는 밀가루로 된 음식을 얼마나 먹을까?

한국인은 쌀이 주식이지만 뭐가 되든 하루에 한 두번은 밀가루 음식을 먹을 것이다. 밀가루로 된 음식은 다양하다. 온갖 국수와 중국 음식들, 과자, 빵, 튀김…. 이맘때 별미인 미나리전도 밀가루가 재료다. 마트에 진열된 과자를 보라. 고객들이 저마다 끄는 카트엔 과자가 기본으로 담긴다. 달콤한 빵 굽는 냄새를 풍기는 빵집도 그냥 지나갈 수 없다. 휴일 은행동 성심당은 인산인해를 이룬다. 산더미같이 쌓은 빵 쟁반을 들고 '뭐 더 살 것 없나?' 보물찾기라도 하는 것처럼 사람들의 눈이 반짝인다. 황홀할 정도로 예쁜 케이크 진열대 앞도 장사진이다. 한여름 매콤새콤한 비빔국수는 생각만 해도 침이 고인다. 도대체 밀가루 음식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인류에게 밀은 곡물 이상의 것이다. 지구상에 밀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의 식탁은 얼마나 빈약할까. 야생 밀을 재배화해 음식으로 이용하기까지 인류는 실로 장대한 드라마를 펼쳐왔다. 밀의 발생지는 서남아시아다. 약 7000년 전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인류가 최초로 밀 재배에 성공했다. 밀은 고대 신화에도 등장한다. 그리스 신화의 데메테르와 이집트 신화의 이시스는 곡물 여신으로 농업을 관장하는 대지의 신이다. 하지만 밀가루를 채취하는 일은 까다로웠다. 오랜 역사 속에서 인류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결국 오늘날의 제분방식으로 발전을 이뤘다.

유년시절의 낭만적인 추억 하나가 있다. 내 고향 마을 앞 저 멀리엔 금강이 흐른다. 어느 핸가 나는 동네 친구들과 무슨 맘인지 강에 놀러갔다. 강에 가려면 윗마을을 거쳐 너른 들판을 가로질러 가야한다. 그 들판은 순전히 밀밭이었다. 강가라 그런지 들판 길의 흙이 밀가루처럼 뽀얗고 고왔다. 바람에 일렁이는 키 큰 밀밭 사잇길을 우리는 고무신을 벗어 들고 맨발로 달렸다. 흙을 밟는 발바닥이 간지러웠다. 한참을 달리고 나서 노랗게 익은 밀을 훑어 손으로 비벼 후우 분 다음 입에 털어넣었다. 계속 씹으면 끈기가 생기고 쫄깃해진다. 영락없는 껌이다.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밀가루 속 단백질이 부풀면서 껌처럼 결합해 글루텐이 형성한다. 이 특성으로 다채로운 밀가루 음식이 세계 곳곳에서 탄생했다. 그런데 손쉽게 먹던 밀가루에 빨간불이 켜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의 곡창지대라 불리는 우크라이나 밀 농사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각국의 식량 사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당장 이집트, 터키 등 밀 생산국들이 빗장을 걸어 잠그는 모양새다.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2020년 기준 20%대다. 그나마 쌀을 빼면 겨우 2.6%.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다. 식량안보의 위기다. 식량주권이 중요한 이유다. 서울에선 칼국수가 8천원을 돌파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젠 서민 음식 칼국수가 아니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쌀, 우리 밀을 지켜내야 한다. 전쟁을 피해 조국을 떠나 낯선 땅에서 구호품으로 허기를 때우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슬픈 얼굴이 떠오른다. 부디 그들에게 다시 평화의 봄이 오길!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