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계획대로면 이달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가야 하지만 구축 초기 단계에서 발목이 잡혔다. 이로 인해 대전 바이오산업의 전초기지라 할 수 있는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은 2023년 4월 가동으로 전면 수정됐다.
사업이 무려 1년가량 늦어진 원인은 '안전진단' 때문이다. 연구시설은 충남대병원 건물에 증축하는 것이 기본안인데, 2021년 공사를 위해 옥상과 기계실 철거 과정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됐다. 2021년 6월 광주에서 철거 중이던 건물 붕괴사고가 발생한 터라 공사는 착수 단계에서 올스톱됐다.
대전시 관계자는 "초기 안전 진단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확인됐다. 다만 병원체자원 연구시설은 고위험 시설이기 때문에 안전 문제가 배제될 수 없다. 일정이 지연되더라도 완벽하게 보수·보강하고 가자는 것이 대전시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에 따르면 안전진단 마무리 시점은 한 달 후인 5월이다. 수개월 동안 진행된 안전진단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구조보강 설계 후 올 하반기 공사가 재개될 전망이다. 신축이 아닌 증축이기 때문에 건축 공사는 일정이 길지 않을 것으로 보고 2023년 시운전을 목표로 했다. 이 과정에서 질병관리청의 허가 등 행정절차 마무리해 4월에는 문을 열겠다는 목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시가 구축하고 있는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국가 시설 외 광역단체가 주도해 설립하는 것은 최초다. 사업비는 160억 400만 원이 투입될 예정인데 국·시비 매칭으로 국비는 모두 확보된 상태다. 지역 내 병원과 기업이 연구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공용'으로 확장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는 치료제와 진단기기 개발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전시는 대전형 바이오랩 '대전바이오창업원'과도 상호작용이 나타날 것으로도 전망했다. 시 관계자는 "대전시가 병원, 기업과 함께 공용으로 활용하는 목적으로 바이오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것은 타 시도에도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 바이오창업으로도 이어져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했다.
한편 대전시의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은 대전형 규제자유특구 사업이다. 생물안전 3등급 실험실을 목표로 대학병원 3곳, 특구사업자 12곳이 공동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