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천 교수 |
가령, 훈민정음이 보급되고 교육이 이루어진 정황은 하급 관리의 선발 시험에 훈민정음을 포함했던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세종실록』 기록을 보면 하급 관리 선발 시험에서 훈민정음에 대한 지식은 기본 과목이자 선발 기준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당시에 훈민정음의 원리를 이해하고 문자의 운용을 아는 것이 관리자의 필수 덕목이었음을 방증한다. 더욱이 선조 임금은 피난길에 의병 참여를 권하면서 황해도에 내린 교서 전체를 한글로만 썼는데, 이를 통해 한글이 왕실 내에서 사용되고 보급된 정도가 상당하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사대부들도 한글을 잘 알고 있었으며, 백성들도 한글로 쓴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즉, 당시의 사대부들이 한문을 숭상했다고 해서 한글을 전혀 향유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어서, 한자 학습서인 『천자문』이나 『유합』을 공부하려면 한글을 먼저 익혀야 했던 것처럼 당시 사대부들은 경서 공부와 독서를 위해서 한글로 풀어쓴 언해서를 필요로 하였으니 사대부들은 사서 『맹자』를 공부하기 위해서 『맹자언해』가 필요했으며, 두보의 시를 읽기 위해 『두시언해』를 가까이 두었을 정도로 언해서를 학습 교재로 삼았다.
한편, 조선후기인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는 시대를 선도한 실학자들은 한자음에 대한 고증학적 연구를 시도했으며, 전통 중국 성운학 차원에서 훈민정음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를 통해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깨달았다. 실학 시대에는 『세종실록』에 나오는 <어제 서문>이나 <예의>, <정인지 후서>의 내용은 이해했더라도 정작 『훈민정음(해례본)』의 내용은 볼 수 없었던 때였으므로 제한된 여건에서 훈민정음의 일반 원리와 문자 및 음운, 어휘 등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실학 시대에 간행된 최석정의 『경세훈민정음도설』, 신경준의 『훈민정음운해』, 홍양호의 『경세정운도설서』, 정동유의 『주영편』, 유희의 『언문지』 등은 훈민정음의 원리와 문자에 대한 통찰력 있는 이해를 보여 준 값진 문헌들이다. 가령, 신경준은 『훈민정음운해』에서 훈민정음은 배우기 쉬워 부녀자나 아이들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고 하여 학습의 용이성을 주장하고, 나아가 훈민정음이 천하의 소리를 기록할 수 있다고 하여 표음적 우수성을 지닌 만국 음성기호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역설하였으며, 정동유는 『주영편』에서 사대부들도 훈민정음의 이치를 제대로 모르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훈민정음의 내용을 살펴 한자음의 착오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하여 사대부들이 유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도 훈민정음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우리 문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식의 확대를 보여 주었다.
요컨대, 한글 사용의 역사적 맥락과 과정은 15세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17세기에서 19세기 즉 실학 시대에 이르러서는 한글의 사용과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한글에 대한 이해와 저변이 넓어졌으며, 주체적인 문자관이 확립되면서 우리 문자에 대한 자각과 재인식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음을 이 시기의 문헌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백낙천 배재대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