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근정전 어좌 뒤편에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가 있다. 오봉병(五峯屛), 일월오봉병, 일월오악도, 일월곤륜도 등으로도 불린다. 다섯 개 산봉우리와 해, 달, 소나무, 폭포, 파도 등이 등장한다. 근정전뿐 아니라, 창덕궁의 인정전,?창덕궁의 명정전,?덕수궁의 중화전,?경희궁의 숭정전 등 대부분 궁궐 정전(正殿) 왕의 어좌가 놓인 당가(唐家:닷집)에 설치하였다. 국왕의 임시처소, 국왕이 참석한 각종행사 그림에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그림으로 왕의 위엄과 권위를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상(圖象)이나 그 유래에 관한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해당 그림 대다수가 형식 및 구도상 특성을 보이는 데, 1) 화면의 중앙에는 다섯 개의 봉우리 가운데 가장 큰 산봉우리가 위치하고 그 양쪽으로 각각 두개의 작은 봉우리가 협시(挾侍)하는 양 배치되어 있다. 2) 해는 중앙 봉우리의 오른편에 위치한 두 작은 봉우리 사이의 하늘에, 달은 왼편의 두 작은 봉우리 사이의 하늘에 떠 있다. 3) 폭포 줄기는 양쪽의 작은 봉우리 사이에서 시작하여 한두 차례 꺾이며 아래쪽의 파도치는 물을 향해 떨어진다. 4) 네 그루의 적갈색 수간(樹幹)을 한 키 큰 소나무가 병풍의 양쪽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바위 위에 대칭으로 서 있다. 5) 병풍의 하단을 완전히 가로질러 채워진 물은 비늘모양으로 형식화되어 반복되는 물결무늬로 문양화(文樣化) 되어있다. 산과 물의 경계선 또는 작은 봉우리 같은 형식화된 물결들의 사이사이, 혹은 그 두 군데 모두에 위로 향한 손가락을 연상케 하는 역시 형식화된 하얀 물거품들이 무수히 그려져 있다.
경복궁 근정전 |
음양오행의 도상으로 보기도 한다. 하늘과 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모든 것이 그려져 있어, 세상의 조화와 이치를 깨닫게 한다. 오봉은 오 방위, 세상천지로 보거나, 사람이 갖추어야 할 도리인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으로 보기도 한다. 오상은 사단(四端)인 인의예지(仁義禮智) 사덕(四德)에 신(信)을 더한 것이다. 인격수양의 덕목이요, 오늘날에도 유효한 도덕적 규범이다. 사랑, 바름, 겸손, 슬기, 믿음, 어느 것 하나 버릴 것이 없다.
어떤 그림이든, 그림에는 의미가 담긴다. 그를 모두 읽어 내기는 어렵다. 그나마 보는 이에 따라 서로 다르다. 한편으론, 제각각 생각하는 모든 것이 담겨있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에도 위에 언급한 그 이상의 것이 담겨있지 않을까? 합뜨려보자. 천지인 조화로 물과 같은 순리에 따라 태평성대를 이루자는 다짐이요, 지침, 역할, 위상을 대변한 것은 아닐까? 천리를 깨우치고 그를 실천하는 것이다. 곧, 위정자는 순리를 따르는 것이요, 천심을 받드는 것이다. 일로서 평가받는 것이요, 심판 받는 것이다. 위엄과 권위는 바로 거기에서 나온다. 결코 다른 의도나 물리적 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일련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반복되거나 되풀이 되는 것을 순환이라 한다. 혈액이 잘 순환해야 생명체가 건강하듯 자연도 막힘없이 순환하여야 건강하다. 사회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다. 선거 결과에 따라, 지나치게 낙망하가나 낙관하는 것을 보게 된다. 그저 순환하는 것으로 보자. 막혀있으면 독재 아닌가? 순환하는 것이 건강한 것이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