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점의 교통정책이 자동차 중심이라면 트램이 운행되는 2027년은 보행자 중심으로 개편될 수밖에 없고 새로운 교통수단이 도심을 관통하는 특성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심에서 자동차를 점차 줄여가는 정책도 병행해야 하는데 차가 없어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환승과 요금을 총괄하는 통합적인 교통정책도 필요하다.
대전의 교통 분야 전문가들은 트램 운영을 위한 통합 교통체계 첫 번째 조건으로 '조화'를 꼽았다.
자동차와 버스, 도시철도, 트램, 그리고 광역철도까지 2027년 대전의 이동 수단은 다양성을 갖추게 된다. 버스와 자동차가 다니던 도로에 트램이라는 새로운 교통수단이 등장하는데 시설물 설치 또는 정거장 위치 등 기존 교통수단과 공존할 수 있는 관점이 투영돼야 한다.
대전시가 트램 정거장으로 '상대식'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도 이런 이유에서다. 상대식은 가운데 트램이 있고 양쪽으로 정거장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시내버스는 오른쪽에만 출입구가 있어 상대식 정거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장기적으로 트램과 버스가 중복되는 노선의 경우 트램 정거장으로 통합될 가능성이 높고, 앞으로 버스와 트램이 혼용되는 법 개정이 이뤄질 경우에도 상대식 정거장이 효율적이라는 분석이다. 보행자 관점에서도 양측 정거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조화 그리고 편리성까지 확보된 대안으로 꼽힌다.
상대식 정거장 모습. |
트램이 운행되면 도로 주행 속도에도 변화가 생기고 궁극적으로는 자동차가 도심에서 감소하는 정책이 시행될 것이라는 결론이다. 결국 자동차가 없어도 다양한 교통수단을 활용해 이동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교통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 MaaS 그리고 트램연계 종합교통계획의 핵심인 셈이다.
대전시 트램정책과 소속 한대희 박사는 "교통수단은 시민들의 선택권이다. 현재는 버스, 도시철도 등 선택권이 높지 않아 자동차 사용에 치우쳐 있다. 트램이 운행되면 광역철도 1~2단계와 대전~옥천 광역철도까지 완성되기 때문에 시민들의 선택권도 확장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자동차를 두고 나와서 여러 교통수단을 갈아타도록, 그럼에도 불편함을 없게하는 것이 트램 연계 종합교통계획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트램 종합교통계획과 함께 자동차 이용을 줄이는 교통수요 관리, 트램 정거장으로 접근하는 보행 및 자전거 시설 개선, 도시 내부 혼잡을 분산시킬 수 있는 순환 도로망 조성도 필요하다고 봤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