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 분야 기업 가운데 수도권을 제외하고 비수도권에서는 대전이 17.9% 점유하고 있고, 우주산업에 참여하는 연구기관의 42%도 대전에 있다며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에도 대전이 가장 적지라는 주장이다.
대전시는 11일 우주정책 전략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대전에 집약된 우주산업 전반을 점검했다. 우주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문제점, 우주산업 기반 분석, 입지 경쟁력 및 설립 타당성은 물론 그동안 진행된 용역 연구에 따른 우주정책 전략 방향과 대응책 등 다방면에서 논의가 이뤄졌다.
양준석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위원은 "행정 기능적 효율성, 우주기업의 현황, 대전 우주 R&D 역량, 우주클러스터 구축 가능성, 전문인력 공급 및 양성, 접근성 및 기타 인프라를 볼 때 우주청은 대전이 가장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우주정책 수립 부처인 국무총리실, 과기정통부, 산업부와 환경부, 통계청, 기상청, 농림부 등 위성수요 부처가 모두 대전과 세종에 밀집해 있고, 우주정책의 큰 축인 국방부, 3군 사령부와의 협업도 대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우주산업 통계로도 대전은 어느 도시보다 막강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 우주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수산업 기업은 359개 중 수도권에 전체 40%가 쏠려 있고 그 외 비수도권에서는 대전이 17.9%로 가장 많다. 경남은 12% 비율이다.
또 우주산업에 참여하는 연구기관 34곳 중 42%에 해당하는 13개 연구기관이 대전에 있고,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충남대 항공우주학과 등 8개 대학에 우주 관련 학과가 있어 전문인력 양성도 수월하다는 점도 대전의 강점으로 꼽혔다.
이택구 행정부시장은 보고회에서 "우주청 설립이 정치적 논리에 흔들리지 않고 최적지는 어디인가에 대한 물음에 답을 내릴 수 있는 냉철한 사고와 전략적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백년대계의 기틀을 다져 나가는데 주안점을 두고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