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강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장 |
이를 위하여 교육부는 2021년까지 마이스터고에 우선 도입해 고교학점 도입기반을 조성하였고 점차 확대해 2022년에서 2024년까지 특목고와 일부 일반고에 확대하면서 제도 부분을 점검한 후 2025년부터 모든 고등학교에 전면적으로 시행할 예정입니다.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교육부를 포함한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교과과정 및 운영방법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필자 또한 2020년 교육부과 과기정통부가 공동으로 만든 수학과학 교육발전 협의체에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수학과 과학의 발전 방향과 이를 학교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했습니다. 또한 몇몇 교육청과 고교학점 운영에 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연구자원을 협력하는 협약(MOU)을 필자가 소속한 기관(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체결했습니다.
이런 활동들을 하면서 항상 드는 의구심이나 안타까움이 있습니다.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고 또 이런 미래의 가치를 선도하는 인재의 역량을 배양하고자 하는데, 그 역량은 무엇이며 그 역량을 배양하는 최적의 방법에 대해선 고민이 적어 보였으며, 이로 인해 고교학점의 운영이 당장 몇 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일선 현장에선 무엇을 어떻게 할지 막막해하고 혼란스러워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선 인재의 역량에 대해 구체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즉,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콘텐츠(교육내용)를 만들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지만, 정작 무엇을 위한 개발이며 투자인지 먼저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추진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전면 시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AI가 선도할 인재의 핵심역량은 무엇일까요? AI는 빅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분야들이 서로 융합해 발전해 나가기에, 필자는 AI인재의 핵심역량은 논리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과 전체를 통찰해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보다 쉽거나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창의력,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술개발과정에서 자신의 역할과 의견을 전달하고 상대방의 역할과 의견을 이해하는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능력이라고 여깁니다.
그런데 이런 역량의 배양을 위해선 다양한 교과과정과 교육내용의 개발보다는 개발된 교육내용을 전달하고 학습하는 방법에 있다고 여깁니다. 이는 학습(學習)은 말 그대로 배우고 익히는 것이기에 소통을 통해 자기 것으로 만들고 이를 현장에서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능력을 실습을 통해 체득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역량의 배양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전달식 교육이 아닌 토론을 통한 논리적 의사표현으로 전개하였으면 합니다. 즉, 문제나 프로젝트가 주어졌을 때 학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토론과 협동을 통해 해결해 가는 문제해결 중심의 학습인 문제(프로젝트)기반 학습(PBL·Problem/Project-based Learning)이 최적의 방안이라고 여깁니다.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익히는 학습은 인지 분석 검증의 과정을 통해서 형성됩니다. 소통을 통해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적용해 배우고 토론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효율적으로 체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소통과 토론을 통해 배우고 익혀 나가면 미래인재의 핵심역량인 논리적 사고력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창의력,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능력은 자연스럽게 배양될 수 있다고 여깁니다.
윤강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