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안 3단계 등 신도시 개발과 주요 원도심의 활발한 도시재생 등을 감안해 어떻게 녹지를 확보하고 보존할 것이냐에 탄소중립 정책까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대전은 도심 곳곳에서 허파 역할을 해줄 녹지 생태계가 절실하다. 그나마 둘레산 영향으로 자연 녹지 비율이 높은 도시에 속하지만 도심에 개발된 녹지는 많지 않다. 자투리 공원이라도 주거시설 인근에서 공원을 만날 수 있는 비율이 적다는 의미다.
대전시가 올해 대동과 더퍼리 등 원도심 중심으로 신규 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발표는 했으나 전문가들은 도시개발로 녹지공간은 오히려 감소하는 수치라며 장기적인 대안을 담은 도시계획 대전환 필요성을 촉구했다.
대전도심녹지계획. |
2030 대전도시계획을 살펴보면 대전시의 계획인구는 185만 명, 활동인구는 200만 명으로 설정돼 있다. 그러나 2022년 2월 기준 대전시 인구는 145만 명에 불과하다. 2030년까지 약 8년이 남았는데, 현실적으로 인구가 늘어날 수 없음을 고려할 때 기본 설정부터 오류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인구 감소에 따라 도시 전반의 밑그림을 다시 그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빠져나간 인구로 인해 도시 곳곳에 빈 공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심별로 진단 후 녹지 확보를 위한 준비 작업이 지금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전재현 대전시 환경녹지국장은 “2030년까지 전망한 중장기계획인 만큼 기후변화와 탄소 중립 등 환경 측면도 일정 정도 반영했을 것으로 본다.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환경 문제는 갈수록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대전시는 2050년 탄소중립 시대를 준비 중이다. 올해 탄소중립지원센터를 건립하고 2023년 상정될 탄소 조례도 만들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의 유일한 탄소흡수원인 나무 심기와 녹지 생태계 확보는 중요한 대목으로 도시계획에 반드시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내년에 상정되는 탄소 조례에는 녹지 확충이 비중 있게 담길 것"이라며 "현재 녹지 생태계 확보를 위해 12억을 투입하는 보라매 지하보도 생태가든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가로수 식재, 공원과 녹지 분야, 산림 등 전방위적으로 조경과 조림 사업에도 꾸준한 속도를 내고 있어 대전 도심 녹지 확보는 현재 진행형"이라고 설명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