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15강 만파식적(萬波息笛)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15강 만파식적(萬波息笛)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03-31 10:23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15강: 만파식적(萬波息笛) : 커다란 파도를 잠재우는 피리, 세상의 온갖 파란(萬波)을 없 애고 평안하게(息) 하는 피리(笛)

글 자 : 萬(일만 만) 波(물결 파) 息(쉴 식) 笛(피리 적)으로 구성되었다.

출 전 :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비 유 : 안팎의 극심한 혼란과 갈등을 치유하여 평화를 간구함. 내부 갈등과 외부 혼란을 잠재움



어느 나라이든 전설(傳說)이나 설화(說話)는 있다. 특히 건국(建國)에 관한 기록은 대부분이 설화나 전설로 기록되어있으며 한 시대를 화려하게 장식했던 영웅호걸(英雄豪傑)에 대해서는 거의 전설이나 설화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헌이 '삼국유사(三國遺事)'이며, 정사(正史)라고 일컫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전설과 신화가 등장한다. 이웃나라 중국(中國)이나 일본(日本)의 경우 건국에 관한 이야기는 대부분 설화나 전설로 기록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신라 신문왕(神文王)은 즉위 후 아버지 문무왕(文武王)을 위하여 동해와 가까운 곳에 감은사(感恩寺/경상북도, 경주시 소재)를 지었다.

그런데 신문왕 2년(682)에 해관(海關)이 보고하기를 동해안에 작은 산(山)이 떠돌아다니다가 감은사로 향하여 온다는 보고를 받고 왕이 일관(日官)으로 하여금 점을 쳐 보니, 해룡(海龍)이 된 문무왕과 천신(天神)이 된 김유신(金庾信)이 수성의 보배를 주려고 하니 나가서 받으라 하였다고 한다. 이에 이견대(利見臺)에 가서 보니, 바다 위에 떠오른 거북 머리 같은 섬에 대나무가 있었는데, 낮에는 둘로 나뉘고 밤에는 하나로 합쳐졌다. 왕이 풍우가 일어난지 9일이 지나 그 산에 들어가니, 용이 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면 천하가 태평해질 것이라 하여 그것을 가지고 나와 피리를 만들어 보관하였다.

이때 왕이 용에게 대나무의 이치를 물었는데, 용이 대답하기를 "비유하건대 한 손으로는 어느 소리도 낼 수 없지만 두 손이 마주치면 능히 소리가 나는 것과 같아, 이 갈라지는 대나무[竹]도 역시 합하면 소리가 나는 것이요. 그리고 이 피리의 성음(聲音)이 천하의 보배가 될 것이다."라고 예언하고 사라졌다. 왕이 곧 이 대나무를 베어서 피리를 만들어 부니 나라의 모든 걱정과 근심이 삽시간에 해결되었다 한다.

이에 만파식적(萬波息笛)을 한 번 불면 몰려왔던 적군이 물러가고, 앓던 병이 나으며 홍수가 나든 가뭄이 오든 한 번에 해결해 버리는 신라의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일본의 침략을 막는 효능이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특이하게도 이 피리는 조령[鳥嶺/문경새재]을 넘으면 소리가 나지 않았다 하여 신라 밖으로 넘어가지 않으려는 정절의 의미로도 해석되었다.

만파식적 설화는 극심한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위기에서 비롯된 절실한 정치담론이다. 만파식적의 만파(萬波)는 '수많은 파도', 즉 나라 안과 밖의 극심한 혼란을 뜻하고, 식적(息笛)은 '갈등을 치유하는 피리'이니 평화(平和)를 간구함이다. 따라서 이 피리는 내부갈등(內部葛藤)과 외부혼란(外部混亂)을 잠재울 도구가 피리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피리는 깊숙이 숨을 불어넣어야 소리가 나고, 귀를 기울일 때만 들리는 연약한 악기다.

이 고사는 권력과 폭력으로는 국민을 더 이상 지배할 수 없고, 상대방의 귀(마음)를 얻지 않고서는 화합할 수 없다는 신라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이 담긴 설화다. 만파식적은 신라 멸망 후 고려 광종 때 경주객사에 동경관(東京館)을 지어 여기에 보관했다고 한다.

그 후 조선 초기부터 다시 이 옥피리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그러다 1592년 임진왜란 도중 화재로 인해 유실되었으므로 광해군 때 경주부윤(지금의 경주시장)이 신묘한 피리가 없어진 것이 안타까운 일이라 해서 옛 모습을 상고해 새로 만들라는 명을 내린다. 그러다 조선 숙종 때인 1690년, 동경관에서 근무하던 향리 김승학(金承學)이 폭우로 무너진 동경관의 담장을 보수하다가 전란 중에 누군가가 감추었던 것으로 보이는 문제의 옛 옥피리를 찾아냈다고 한다. 김승학은 피리를 집으로 가져가 죽을 때까지 보관했지만 그가 1707년 죽자 관아에 그 사실이 알려졌고 이것이 옛날 유실된 진품 옥피리로 추측하고 압수해 다시 경주 동경관에 보관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옥피리에 관한 설화는 단지 신묘함이나 옥피리의 소리의 감상 정도의 내용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당시 문무왕은 삼국을 통일하고 당(唐)나라까지 물리치는 전쟁으로 나라 안팎이 극도로 혼란했던 시기에 더군다나 신라와의 앙금이 깊은 백제와 고구려의 백성들과 통합이 가장 큰 정치적 부담이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신화나 토템신앙의 힘을 빌려서라도 통합된 하나의 만족으로서 나라를 구현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이제 대한민국에 새로운 정권이 등장했다. 자칫 잘못하면 기존의 권력세력과 신세력간의 갈등과 분열이 더한층 드러날 수 있는 시기이다. 이 불안한 모든 정황을 국민들의 소망을 기준으로 한다면 별다른 충돌은 없을 것이다. 곧 양보, 협조, 배려만이 갈등을 해소하는 길이 될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