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
별자리 운세도 천문학이 아니라 점성술이다. 비록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전혀 다르다. 천문학은 우주를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우주 현상을 규명하는 학문이다. 점성술은 태양이 지나가는 길에 있는 천구상의 12개의 별자리를 가지고 여기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천구에 있는 총 88개의 별자리 중에 태양이 지나는 길인 황도에 걸쳐있는 별자리를 '황도 12궁'이라고 부른다.
그러면 각각의 별자리에 따른 특성이 정말 있을까? 별자리란 단지 우리가 지구에서 볼 때 서로 가깝게 보이는 별들을 묶어서 구역을 정해놓았을 뿐이다. 같은 별자리 내에 있는 별 중에는 우리와 가까이 있는 별도 있고 멀리 있는 별들도 있다. 가까운 별은 수 광년에도 있지만, 멀리 있는 별은 수만 광년 떨어져 있어서 상호 연관이 없다. 별자리 자체가 의미가 없는 것이니, 개개인의 성격이나 운명과도 상관이 없다.
음양오행도 마찬가지다. 음양은 해와 달을 말한다. 이 둘은 매우 다르다. 해는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고, 달은 지구의 위성일 뿐이다. 해는 지구보다 110배 크고, 달보다는 400배나 크다. 그리고 지구에는 달이 한 개 있지만, 화성은 2개의 달(위성)을, 목성과 토성은 수십 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달이 한 개만 있는 것은 지구만의 특별한 경우다. 또한 우주에는 두 별이 서로 중력으로 묶여있는 쌍성도 많다. 해가 하나인 것이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즉 음양은 인간이 만든 관념일 뿐이지, 실제 해와 달과는 상관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행은 어떠한가? 오행은 다섯 개의 행성인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을 말한다. 행동한다는 의미로 '행성'이라는 이름을 붙여 별과 달리 특별하게 취급했다. 이들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그리고 태양계의 행성에는 이 다섯 개뿐만 아니라 천왕성과 해왕성도 있다. 다섯 개의 행성은 그 이름만 똑같이 붙였을 뿐으로, 음양오행의 관념과는 무관한 것이다.
2000년 5월에 이들 행성이 한 줄로 늘어선 적이 있다. 이를 두고 세계의 종말이 왔다고 호들갑 떨었던 소위 예언자들이 있었다. 그렇지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지구를 포함해서 이들 6개 행성의 질량을 모두 합해도 태양 질량의 1/1000밖에 되지 않는다. 중력의 법칙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이 정도 무게로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행성이 서로 다른 주기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다가 우연히 한 줄에 배치됐던 것일 뿐이다.
미신은 무지에서 비롯된다. 사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엉뚱한 결론에 도달하고, 이 결론들이 모여 미신이 된다. 과거에는 유성이 떨어지면 큰 인물이 타계했다고 생각했다. 현재 우리는 유성(별똥)이 소행성이나 혜성에서 떨어져나온 모래알, 또는 우주에서 떠도는 물체가 지구 대기와의 마찰열에 의해 타는 현상임을 안다. 별똥을 보며 누군가의 죽음과 연관 짓는 사람은 더 이상 없을 것이다.
잘못된 인식이 한번 각인되면 쉽게 변하지 않는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려면 현상을 제대로 보고 사실을 받아들이는 훈련이 필요하다. 편견을 없애고 제대로 사고하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주입식 교육에 길든 우리는 논리적 사고를 하기가 쉽지 않다. 지식을 머릿속에 채우기만 했지,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과학은 논리적 사고를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과학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그 성질이나 원인을 밝혀내는 학문이다. 이를 위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가설을 만들고 그 가설이 들어맞는지 실험을 해 검증하는 것이다. 과학을 통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능력을 배양해 미신과 미망의 함정에서 벗어나면 좋겠다.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