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픽=한세화 기자 |
이대남 현상이 '세대·성별 갈라치기 프레임'이라는 데에 국민 80%가량이 동의한다는 결과와 함께 이대남 당사자인 20대 남성들의 정치성향에 따라 스스로를 '이대남'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극명하게 갈렸다.
2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 발표한 '이대남 현상에 대한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이대남·아대녀 같은 구분이 성별·세대 간 갈등과 분열을 조장할 수 있다는 응답이 전체 중 88.9%로 집계됐다. 총 5개 설문 응답항목 중 '매우동의'를 기준으로도 절반이 넘는 5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다양한 성향을 지닌 20대 남성들을 단순하게 한 집단으로 묶어서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가 85.8%, '이대남 용어, 나아가 20대 남성집단 자체가 정치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85.0%로 비슷한 수치로 2.3위를 기록했다.
이번 설문은 제20대 대선이 끝난 다음날인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 동안 20대부터 50대까지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진행했다.
![]() |
그렇다면 20대 남성들은 실제 자신을 이대남이라고 인식하고 있을까. '이대남'의 당사자인 20대 남성들 가운데 자신이 '이대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3.3%에 불과했다. 반대로 '아니다'라는 응답은 36.8%, '잘 모르겠다'가 40.%다.
이는 정치성향에 따라 극명한 차이를 보였는데, 스스로를 '이대남'이라고 생각하는 20대 남성들은 보수가 44.1%, 중도 16.5%, 진보 8.3% 순이었으며, 반대로 '이대남'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보수 26.0%. 중도 41.8%, 진보 50.0%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