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경제교육부 기자 |
학령인구 급감을 앞두고 살길을 찾기 위해 대학들에게 어느 때보다 더 와닿는 문구일 테다.
최근에는 충남대와 한밭대가 통합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시 한 번 대학가에 '대학통합'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두 대학의 통합 이유로는 대학의 미래를 들었다.
2월 17일 충남대는 이진숙 총장의 입장문을 통해 "지난달부터 교수, 학생, 직원, 동문회 등 대표분들께 대학 발전을 위한 통합 논의 시작의 필요성에 대해 말씀드리고 있다"면서 "대학 발전과 도약을 위한 방안으로 통합이라는 모델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최병욱 한밭대 총장도 "최근 학령인구가 급감하며, 대학들은 공유대학·연합대학 등의 새로운 네트워크형 교육 모형을 시도하고 있다"며 "인접한 권역에 일곱 개의 국립대가 있는 현실에서 가까이 있는 두 대학이 공동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비공식적인 논의를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충남대는 2월부터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충청권 국립대학 통합 추진 관련 간담회를 실시했다. 통합 논의를 공식화하기 전 선제적으로 단과대학, 교수회, 직원협의회, 학생회 등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취지다. 최근에는 서울대 10개 만들기의 저자인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를 초청해 특강을 개최하기도 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학교 측의 일방적인 추진'을 비판하고 있으며, 청와대 국민청원에 '통합 반대' 청원을 올리는 등 통합을 반대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이 같은 통합은 대학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방안이자 대응책으로 꼽힌다. 실제로 지역 거점국립대학 7곳이 모두 통합에 성공한 바 있다. 지난 2006년 부산대와 밀양대, 전남대와 여수대, 강원대는 삼척대와 합쳐졌으며, 2008년에는 경북대와 상주대, 전북대와 익산대, 제주도와 제주교대가 통합에 성공했다. 지난해는 경상대와 경남과기대가 통합해 국립경상대가 출범하기도 했다. 통합의 목적은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다.
대학 사회에서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거나 특성화 즉 타 대학과 차별성을 갖고 있지 않고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어쩌면 통합은 이러한 시대 변화에 맞추어 변신해 가는 하나의 과정과도 같다.
하지만 통합을 위해서는 가장 우선시 돼야 할 게 있다. 바로 '구성원 합의'다. 통합의 비전과 목표, 통합 로드맵을 분명히 제시해서 학내 구성원은 물론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은 절대로 빼놓아서는 안된다. 대학의 위기 속 새로운 시작을 위한 진정한 통합의 완주를 기대해 본다. 박수영 경제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