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
누구나 아는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굳이 또 언급하는 이유는 앞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나갈 차기 정부에 거는 기대와 우려 때문이다.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우리 정부가 이끌어나가지 못할망정 뒤처지지 않기 위해선 해야 할 역할이 많다. 제대로 된 과학기술 정책과 실행은 집무실을 어디에 두느냐보다 훨씬 중요한 일이다. 과학기술 거버넌스를 어떻게 할지, 이전에 원활하지 못했던 대형 국책사업은 어떻게 점검하고 진행할 것인지 등 숙고해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니다.
윤석열 당선자가 후보 시절 언급한 항공우주청 신설을 놓고 말들이 많다. 항공우주청인지, 우주청인지, 우주처인지에 대한 명칭과 그 기능, 역할에서부터 어디에 어떻게 조직을 꾸릴 것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가장 큰 것은 단연 어디에 이것을 둘 것인지인데 지자체는 물론이고 관련 업계 종사자들까지 나서서 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논의는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현재 벌어지는 상황은 썩 그렇지 못한 듯하다. 정부가 괜한 갈등을 조장하는 꼴이 되지 않기 위해선 제대로 된 현장 의견을 수렴해 추진해야 한다.
과학과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부처를 다시 하나로 모은다는 것에도 많은 이들의 이목이 쏠려 있다. 앞서 경험해 본 바 부처 통합의 효과는커녕 오히려 퇴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걱정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이명박 정부 때 시작해 아직도 매듭을 짓지 못하고 있는 중이온가속기 사업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을 포함한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관심 가져야 할 사업이 한둘이 아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떠나 그 현장에 있는 이들의 의견을 많이 듣고 반영해야 한다. 과학기술 분야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닐 테다. 굳이 전 정부와 차이를 보이지 않아도 된다. 무르익지 못한 섣부른 결정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 윤석열호의 과학기술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갈지는 전적으로 당선자에 달려 있다. 부디 순항을 바란다.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