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장애인 돌봄 공백도 발생하고 있는데, 보호자가 확진됐을 경우 '긴급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고 이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대전의 등록 장애인 수는 7만 2489명으로, 그중 중증 장애인은 2만 8303명이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라 PCR 검사는 고위험군만 받을 수 있으며 재택치료 역시 집중관리군을 대상으로 관리의료기관에서 1일 2회 건강모니터링을 한다.
고위험군 대상자는 60세 이상 고령자,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감염취약시설관련자, 밀접접촉자 등이다. 집중관리군은 60세 이상 고령자, 먹는 치료제 대상자,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이다.
문제는 고위험군, 집중관리군 대상에 장애인이 제외되면서 코로나 검사부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허다하다.
발달 장애인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발달 장애인의 경우 신체적으로 예민해 콧속에 검사 기구를 넣어 검사받는 것 자체를 더 힘들어한다"며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때도 PCR 검사대보다 긴 줄을 서야 한다. PCR부터 먼저 받게 해줬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보호자가 코로나19에 확진돼 장애인 돌봄 공백이 발생하는 일도 늘고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있긴 하지만 하루 평균 5시간만 지원받을 수 있어 그 외 시간은 혼자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실정이다.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이 긴급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지난해 지원을 받은 장애인은 단 1명에 그쳐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홍보가 미미한 이유도 있지만 현재 대전의 긴급돌봄서비스 인력이 단 44명뿐이며, 그중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6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비스 인력이 상근직이 아니다 보니 대상자가 서비스를 신청했을 때 지원 가능한 활동지원사가 없다면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대전시사회서비스원 관계자는 "긴급돌봄서비스의 경우 현재 시범사업 단계에 있다"며 "올해부터 대상자들이 서비스를 더 많이 신청할 수 있도록 홍보를 더 강화할 계획이다. 요양보호사, 장애인 활동지원사, 보육교사 등 서비스 인력 역시 상시 모집 중이며 지원 인력을 50명까지 확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