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비교가 비난이 되지 않도록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비교가 비난이 되지 않도록

법무법인 유앤아이 신동철 변호사

  • 승인 2022-02-27 09:16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ㅈ
신동철 변호사
조선 세종 때 명재상으로 알려진 황희가 젊은 시절 시골길을 가다가 누렁소와 검은소가 일하고 있는 것을 보고 농부에게 두 소의 우열을 물었다는 일화는 너무도 유명하다. 농부는 황희에게 다가와 귓속말로 누렁소가 일을 잘하는데 검은소가 들으면 서운해하니 말을 조심해야 한다고 일러 주었고 그 농부의 마음에 감복한 황희는 그 일을 교훈삼아 남의 단점을 말하지 않고 사람을 아껴 훌륭한 정승의 반열에 올랐고 지금도 추앙받고 있다.

우리도 자녀를 키우다 보면 은연중에 자녀에게 비교하는 말을 자주 하게 된다. 그 시작은 아마도 아이를 달래기 위한 사소한 비교에서 출발했을 것이다. "뚝, 울음 그쳐. 옆집 친구는 주사맞을 때 안 울었다던데?", "형은 잘했는데, 우리 동생도 잘할 수 있지?" 등 이 정도의 비교는 아이에게 비교대상을 떠올리고 은근한 경쟁심을 가지고 잘 해보려고 노력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시작한 비교가 나중에는 부모의 화풀이 수단이 되거나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고 열등감에 빠지게 하는 폭력적인 도구로 변하기 쉽다. "옆집 누구는 이번에 백점 맞았다고 하더라. 너는 왜 그래?", "남들은 다 하는 걸 너는 왜 못하는 거야?" 등 보통 이런 말을 할 때 부모는 언성이 높아지고 표정도 표독스럽게 변하게 된다. 도대체 한 번도 본 적도 없는 엄친아, 엄친딸과 비교되고 있는 자녀들은 부모에 대해 반감만 높아질 뿐이다.

비교는 곧 질투와 연결되기도 한다. 비교 또는 비교의식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같다. 인간이 로봇처럼 모두 똑같이 만들어졌다면 비교라는 개념은 생기지 않았을 수도 있다. 성경에서 말하는 인류 최초의 살인이라는 가인의 살인은 동생 아벨에 대한 비교 때문에 일어난 비극이다. 신이 자신의 제사는 받지 않고 동생 아벨의 제사를 받은 것에 대한 원망이 아벨에 대한 질투로 바뀌었고 결국 동생을 죽이게 된 것이다. 그 이전에 최초의 인간 아담의 타락도 신과 같이 될 수 있다는 비교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비교 그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비교(比較)는 견주다는 뜻의 두 글자가 합쳐진 말로서 국어사전에서는 '둘 이상의 사물을 견주어 서로 간의 유사점, 차이점, 일반 법칙 따위를 고찰하는 일'로 풀이된다. 영어 compare도 분석하면 '같은 것인지 보기 위해 함께 두다'라는 어원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우리가 살면서 수많은 선택을 해야 할 때 기본적으로 하는 것이 비교하는 일이다. 자세히 따지고 살펴보며 비교해야 올바른 판단의 근거가 생긴다. 얼마 전 끝난 동계올림픽을 보더라도 건전한 경쟁이 있을 때 더 페이스가 좋고 결국 기록도 단축되는 사례를 흔히 보게 된다. 비교할 좋은 페이스메이커가 필요하고 경쟁이 필요한 이유다. 하지만 문제는 비교를 통해 얻어지는 과도한 만족감으로 왜곡된 우월감을 갖게 되거나 반대로 지나친 열등감에 사로잡혀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남보다 잘하려 하고 돋보이려고 하는 것을 비난할 수는 없다.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자녀나 제자들에게 남과 경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다그치는 것도 일정 부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노력을 생략하고 화려한 결과만 쫓다 보면, 범죄에 연결되기 십상이다. 일확천금을 노리며 한탕을 노리다가 사기 범죄를 저지르거나 그 범죄의 피해자가 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남의 아이디어나 노력을 훔치는 행위도 종종 일어난다. 부모를 잔인하게 살해하여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패륜범죄들을 결코 옹호할 수는 없으나, 그 내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러한 범죄자들 역시 오랜 시간 부모로부터 주입된 비교의식의 피해자이면서 학대의 피해자인 경우가 있어 더 가슴 아프다.

'누구나 태어날 때 자기 밥그릇은 갖고 태어난다'는 말이 있다. 누구나 자신만이 잘할 수 있고 어울리는 것이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남들과 비교하기 앞서 자기 자신을 먼저 잘 성찰해야 한다. 남과 비교해서 좋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잘할 수 있는 것, 내가 즐거운 것을 찾아야 한다. 비교하되 왜곡하지 말고, 비교하되 비난하는 일을 멈추자.

/법무법인 유앤아이 신동철 변호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5.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