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얼음 덮인 땅 북극 1. 新경제영토 스발바르 군도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얼음 덮인 땅 북극 1. 新경제영토 스발바르 군도

강무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 승인 2022-02-24 17:01
  • 신문게재 2022-02-25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증명사진_강무희
강무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북극권은 일반적으로 3가지 범주, 위도, 기온 그리고 식생으로 규정할 수 있다. 북극에는 하절기 태양이 수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 백야(white night)와 동절기 태양이 수평선 위로 뜨지 않는 극야(polar night) 현상이 나타나는데 북위 66도 33분을 이은 가상의 선을 북극권 한계선(Arctic Circle)이라고 하고 그 이상 고위도 지역을 북극권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여름철 평균기온이 10℃ 이하가 되거나 나무가 자랄 수 없는 수목한계선으로 북극권을 규정하기도 한다.

북극권은 전 지구 면적의 6%에 불과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전 세계 자원량의 약 22%에 해당하는 막대한 에너지자원이 부존돼 있는 지구자원의 마지막 보고다. 북극자원의 부존은 비교적 오래전 파악됐지만 북극이라는 극한의 지리적, 환경적 제약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개발만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극 해빙(海氷)의 전례 없는 감소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동항로와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북서항로의 이용이 현실화되면서 북극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스발바르는 북동항로의 끝, 북극해와 바렌츠해가 만나는 북위 74~81도, 동경 10~35도 사이에 위치한 9개의 주요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archipelago)다. 이렇게 북극권 최북단에 위치한 스발바르의 면적은 약 6만 제곱킬로미터로 한반도의 3분의 1 크기이며 연중 60% 이상 눈과 얼음으로 덮여있다. 면적의 3분의 2가 얼음으로 덮인 프런티어인 스발바르의 특징은 다름 아닌 바로 스발바르조약에 있다. 스발바르조약은 1920년 2월 9일, 최초서명국 노르웨이, 미국, 영국 등 14개국이 체결한 국제조약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주권은 노르웨이에 있으나 조약 체결국가의 국민들에게 스발바르의 접근권은 물론, 어업, 광업, 상업 활동의 허용 등 노르웨이 국민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특별한 조약이다. 스발바르조약은 스피츠베르겐조약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스발바르의 9개 섬 중 가장 큰 섬이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인 것에서 연유한다.

스발바르조약이 체결된 이후 스발바르는 주로 어업 및 석탄채굴을 위한 요충지였다. 그러나 석탄산업의 쇠퇴를 시작으로 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을 새롭게 정하는 유엔해양법협약 등의 출현으로 스발바르의 중요성과 가치가 점차 줄어들고 있었다. 위기가 또 다른 기회라고 했나? 21세기 들어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스발바르는 지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환경, 과학 분야, 더 나아가 관광, 신산업 등 새로운 경제적 요충지로서의 전략적 가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북극 현안 정부 간 협의체인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의 주도국이자 북극해를 접하고 있는 미국, 캐나다, 러시아, 노르웨이와 북극해를 접하지 않은 북극이사회 비북극권 영구옵저버 일본, 중국, 인도 등 당사국 모두가 스발바르조약에 가입했다. 이는 스발바르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각국의 관심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우리나라 역시 2012년과 2013년에 스발바르조약에 가입, 북극 탐사 및 자원개발에 필수적인 '영구 옵저버(Observer)' 지위를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북극진출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이라는 첫걸음에 의미를 두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질적 투자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북극개발은 아직까지도 국가 간 경계 분쟁이 상존한다. 특히 개발에 따른 고비용과 환경오염에 따른 위험성이 높고 극한지 개발을 위한 기술혁신 등 강한 도전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앞으로 다가올 전 세계적인 에너지 부족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 자원량이 풍부하다는 북극의 장점은 위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특히 스발바르는 북극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과학적, 기술적 실증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영토로 주목받고 있기에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2017년 슬로바키아를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46개국이 스발바르조약에 가입했으며, 2020년에는 스발바르조약 100주년 기념행사가 스피츠베르겐섬의 롱이어비엔(Longyearbyen)에서 개최됐다. 롱이어비엔은 스발바르 군도의 최대 정착촌으로 스발바르 자치국과 노르웨이 본토에서 정기 항공기가 운항하는 공항이 위치한 북극탐사의 전초기지다. 북극의 또 다른 신비, 북위 78도 롱이어비엔의 이야기를 기대해보자!
강무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