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무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
북극권은 전 지구 면적의 6%에 불과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전 세계 자원량의 약 22%에 해당하는 막대한 에너지자원이 부존돼 있는 지구자원의 마지막 보고다. 북극자원의 부존은 비교적 오래전 파악됐지만 북극이라는 극한의 지리적, 환경적 제약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개발만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극 해빙(海氷)의 전례 없는 감소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동항로와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북서항로의 이용이 현실화되면서 북극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스발바르는 북동항로의 끝, 북극해와 바렌츠해가 만나는 북위 74~81도, 동경 10~35도 사이에 위치한 9개의 주요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archipelago)다. 이렇게 북극권 최북단에 위치한 스발바르의 면적은 약 6만 제곱킬로미터로 한반도의 3분의 1 크기이며 연중 60% 이상 눈과 얼음으로 덮여있다. 면적의 3분의 2가 얼음으로 덮인 프런티어인 스발바르의 특징은 다름 아닌 바로 스발바르조약에 있다. 스발바르조약은 1920년 2월 9일, 최초서명국 노르웨이, 미국, 영국 등 14개국이 체결한 국제조약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주권은 노르웨이에 있으나 조약 체결국가의 국민들에게 스발바르의 접근권은 물론, 어업, 광업, 상업 활동의 허용 등 노르웨이 국민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특별한 조약이다. 스발바르조약은 스피츠베르겐조약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스발바르의 9개 섬 중 가장 큰 섬이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인 것에서 연유한다.
스발바르조약이 체결된 이후 스발바르는 주로 어업 및 석탄채굴을 위한 요충지였다. 그러나 석탄산업의 쇠퇴를 시작으로 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을 새롭게 정하는 유엔해양법협약 등의 출현으로 스발바르의 중요성과 가치가 점차 줄어들고 있었다. 위기가 또 다른 기회라고 했나? 21세기 들어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스발바르는 지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환경, 과학 분야, 더 나아가 관광, 신산업 등 새로운 경제적 요충지로서의 전략적 가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북극 현안 정부 간 협의체인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의 주도국이자 북극해를 접하고 있는 미국, 캐나다, 러시아, 노르웨이와 북극해를 접하지 않은 북극이사회 비북극권 영구옵저버 일본, 중국, 인도 등 당사국 모두가 스발바르조약에 가입했다. 이는 스발바르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각국의 관심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우리나라 역시 2012년과 2013년에 스발바르조약에 가입, 북극 탐사 및 자원개발에 필수적인 '영구 옵저버(Observer)' 지위를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북극진출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이라는 첫걸음에 의미를 두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질적 투자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북극개발은 아직까지도 국가 간 경계 분쟁이 상존한다. 특히 개발에 따른 고비용과 환경오염에 따른 위험성이 높고 극한지 개발을 위한 기술혁신 등 강한 도전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앞으로 다가올 전 세계적인 에너지 부족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 자원량이 풍부하다는 북극의 장점은 위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특히 스발바르는 북극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과학적, 기술적 실증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영토로 주목받고 있기에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2017년 슬로바키아를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46개국이 스발바르조약에 가입했으며, 2020년에는 스발바르조약 100주년 기념행사가 스피츠베르겐섬의 롱이어비엔(Longyearbyen)에서 개최됐다. 롱이어비엔은 스발바르 군도의 최대 정착촌으로 스발바르 자치국과 노르웨이 본토에서 정기 항공기가 운항하는 공항이 위치한 북극탐사의 전초기지다. 북극의 또 다른 신비, 북위 78도 롱이어비엔의 이야기를 기대해보자!
강무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