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5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을 분담할 수 있는 묘안이기도 하지만, 충청권 메가시티 광역생활권을 위한 선도사업으로 추진 가능한 과제라는 점에서도 지역 간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대청호 추동 도수터널과 취수탑은 1980년대 단일 시설로 조성돼 현재 노후가 심각하다. 시설 점검과 보수를 위해서는 단수라는 극단적인 방법밖에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한 연구에 따르면 추동 도수터널에 사고가 발생하면 대전·세종·계룡은 평균 41시간 단수가 불가피하다고 예측됐다.
22일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께 추동 도수터널과 취수탑 제2시설 조성 추진계획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상수도본부가 의뢰한 '추동 제2취수탑 및 도수터널공사 안정성 검토 학술용역'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추동 취수터널 붕괴에 따른 지역의 피해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살펴보면 사업 추진을 위한 근거나 명분은 하나로 귀결됐다.
추동 취수탑. |
주암 도수터널의 경우 한국개발연구원에 2014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여수 국가산단 용수공급 중단 시 피해 규모가 약 1800억 원으로 산정됐다. 추동의 경우 용수공급 대체시설이 없고 이보다 더 많은 지역과 산단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있어 사회적 파장은 수십 배에 다할 것이라는 추론이다.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학술용역과 연구보고서는 안정성을 확보하는 접근성만 달랐을 뿐 노후시설로 제2시설을 건설해야 하다는 결과가 같았다"라며 "하반기를 목표로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나 예산이다. 총사업비는 955억 원으로 전망된다. 대전시는 지난해 추동 제2시설과 관련해 정부에 수차례 국비 반영을 요구했으나 무산됐다. 지방상수원은 전국에서도 국비가 지원됐던 선례가 없었다는 것이 걸림돌이 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대전 지역 단일지역 공급이 아닌 세종과 계룡, 장기적으로는 천안까지 식수원이 공급된다면 지방상수원이 아닌 광역상수원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도 이에 공감하고 사업 타당성에는 긍정의 입장이었으나 국비 확보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대청호 추동 도수터널은 대전과 충청권 인접 지역까지 용수 공급이 가능한 곳이다. 향후 단일 생활권으로 추진되는 메가시티 입장에서도 충분히 공동대응할 사안"이라고 제언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