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에서 촬영한 대전산단 모습. 왼편으로는 갑천과 유등천이 흐르고 오른편에는 조차장역이 보인다. 카카오맵 2020년 버전으로 한샘대교는 조성전이다. |
‘디지털산단’을 테마로 대개조 선언 후 1년 동안 준비해온 국가 공모사업이지만, 준공 20년이 지난 전국 노후 산단 가운데 5곳만 선정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대전시가 대전산단의 역량과 대개조 이후의 변화를 담아낼 전략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산단 대개조는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범부처 협력 사업으로 2019년 제13차 일자리위원회에서 상정·의결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지원하는데 해마다 교차로 공모를 전담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산자부 차례고 3월 공모, 5월 평가 및 지정 순으로 진행된다.
산단 대개조는 2020년 처음으로 5곳이 지정됐다. 경북 구미와 광주 첨단, 대구 성서, 인천 남동, 전남 여수 산단 등이다. 2021년에도 5곳이 선정됐는데 경기 반월시화와 경남 창원, 부산 명지녹산, 울산 미포, 전북 군산이 이름을 올렸다.
대전산단의 대개조 비전을 압축하면 '디지털산단'이다. 규제 완화와 토지 효율화, 기술고도화 등 세 가지 분야를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기존 업종을 첨단업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결과적으로 기존 업종에 최신 기술력을 융합해 첨단업종 바꿔 청년들이 직접 일자리를 찾아 대전산단으로 오도록 체질을 개선하겠다는 얘기다. 여기에 향후 민관 합동 개발로 정주 여건까지 조성하는 계획안을 구상한 바 있다.
대전시가 구상하고 있는 대전산단 조감도. |
대전시 관계자는 "유해업종의 경우 기술고도화에 따라 생산력이 좋아져 환경유해물질이 감소할 수 있는 방향이 나올 수도 있다. 기술고도화를 통해 대전산단이 가진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맞춤형 기술력 접목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지난해 9월부터 대전산단 관련 용역을 진행했고 현재 기본안인 나온 상태다. 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대개조 추진 전략과 논리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고도화 전략과 유해업종, 규제 완화를 위한 전략과 대책 등이 담겨야만 승부수를 던질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전산단은 2020년 4분기 기준 기계 업종이 106곳으로 가장 많다. 이어 철강 65곳과 전기·전자 37곳, 석유화학 26곳이고, 비금속과 섬유의복, 음식료, 목재종이 업종이 입주해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산단 대개조는 3월 공모사업으로 현재 용역 기본안이 나왔다. 공모에 앞서 정부를 통해 컨설팅을 받고 공모 후에도 최종 컨설팅 과정을 거친다. 공모 결과를 단정할 수 없으나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공모에 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전산단 대개조에 투입될 총예산은 미지수다. 정부가 산단 대개조 제안서를 평가하고 최종 예산 심의 후 확정하기 때문에 시에서 총액을 산정해도 의미가 없다는 이유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