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억 원에 달하는 예산 확보가 걸림돌로 떠올라 용역 계획이 소제동에 적용될지도 가늠할 수 없다. 여기에 최종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아 큰 틀의 구상마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 수억 원을 투입한 용역 결과가 자칫 휴짓조각이 될 수 있어 소제동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대전시와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에 따르면 소제동 철도관사촌 마스터플랜 용역은 지난해 12월 완료, 올해 1월 최종 보고서가 완성됐다. 재개발을 하되 소제동의 본래 색은 지키고 문화재를 보존해 방문객을 유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것이 핵심 의제였다.
그러나 용역 최종보고서는 대전시에 의해 '비공개'로 묶여 있다.
'철도관사촌 테마 발굴', '지역주민지원사업', '문화예술 인큐베이터' 세 가지 큰 카테고리와 문화재 눈높이에서 보존할 수 있는 철도관사촌을 전통나래관 인근으로 이전하겠다는 뼈대만 확인됐다.
소제동 전경. |
용역 비공개 여부에 대해 대전시 도시재생과는 "관사촌 보존과 이전을 위한 작업만 우선 착수한다. 그 외 사업은 예산 확보가 먼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산 확보와 주민 동의도 구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고서가 전체 공개되면 시의 추진 일정 또는 의사와 관계없이 모든 사업이 확정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용역은 최대 효과를 기대하며 궁극적으로 이렇게 가면 좋겠다는 구상일뿐, 사업 확정 여부가 담긴 보고서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소제동은 대규모 아파트 재개발과 카페, 음식점이 들어서면서 천정부지로 땅값이 뛰었다. 대전시는 확정하지 않은 사업이 공개되면 상업으로 이용돼 토지 가격 상승하고 의도와 반대로 난개발이 시작될 수 있다며 당분간 비공개로 유지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관사촌 보존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마스터플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시간과 예산 확보, 주민 동의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용역에 담긴 철도관사촌 보존을 위한 작업은 이미 착수했다. 문화유산과는 '소제동 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을 위해 3월로 예정된 문화재청 공모사업을 준비 중이다. 이 공모사업 선정 땐 국비 250억 원이 지원된다.
대전시 관계자는 "문화재청 공모 기획서는 완료 단계로 3월에서 4월로 공모 일정이 한 달 지연됐다. 문제는 관사촌을 이전해서 보존해야 한다는 것인데 문화재의 진정성, 가치를 얼마나 평가해주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