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호진 충남교사노조 대변인 |
맘카페보다 많은 자료가 쏟아지는 곳이 학년별, 학교별, 과목별 교사카페, 교사밴드, 교사 홈페이지다. 하루에도 수백 건의 새로운 수업기록이 전국 각지에서 올라오고 함께 공부하자는 게시물이 넘쳐난다. 서점에 가보면 현직 교사가 쓴 저서가 얼마나 많은지 아는가? 이처럼 교사는 가장 독립적이면서 창조적으로 연대하는 유기적 집단이다. 참으로 안타깝게도 교사는 이 창조성을 강요받기도 하고 정책에 따라 적절히 억압당하면서 어찌저찌 살아가고 있다.
나도 예외는 아니었다. 학교에 가자마자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공문을 먼저 처리한다. 자료집계는 덤이다. 수업을 못 해도 불려가진 않지만, 공문이 잘못되면 교무실에 불려가는 경우가 많다. 정작 아이들을 위한 에너지는 왜 늘 마지막에 써야 하나, 라는 회의감이 몰려올 무렵, 교사노조의 출범소식을 들었다. 그리고 망설임 없이 가입했다. 몇 개월 뒤 정신차려보니 나는 집행부에 들어가 보도자료를 쓰고 있었다.
보도자료를 쓰며 알게 된 선생님의 고충은 상상초월이었다. 수업과 생활지도가 업무 뒤로 밀려나는 경우는 기본이다. 학교장 재량권이라는 이름 하에 원칙 없는 갑질이 만연한다. 행정업무가 교사의 능력이 된다. 교권 침해, 수업권 침해가 발생해도 교사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기도 한다. 어떤 학교에는 아직도 강제적인 조직문화가 판을 친다. 원격으로 수업을 하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대면보고를 강조하거나 불필요한 회의를 지속되는 학교도 많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목소리조차 내지 못하는 교사가 많다는 것을 깨달은 선생님들이 모여서 '교사노동조합'을 결성했다.
많이 묻는다. 굳이 '교사노동조합'이 필요하느냐고. 교사노조에 가입한 선생님들에게 여쭈었다. 왜 '노조'와 함께하기로 마음먹었는지 말이다. 선생님들의 대답은 비슷했다. 아이들과 학생 지도에 전념하기 위해서, 내가 선생님이라는 자부심을 느끼고 싶어서, 그리고 당당한 교사로 살아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서 함께 하고 있다고 답해주셨다. 교사가 '노조' 한다고 색안경 끼는 사람도 많을 줄 안다. 왜 모르겠는가? 하지만 선생님들이 수업하며 보람을 느끼고 싶어하는 기본적인 욕구를 억압당하는 꼴을 더는 보고싶지 않다. 선생님들은, 그저 수업을 하고, 학생과 한 번 더 눈을 맞추며 이야기 나누고 싶다. 그렇게 하루하루 아이들을 위한 시간로 선생님의 시간을 채우고 싶다. 그래서 '노조'한다. 그것만 기억해주신다면 참으로 좋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