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전문가들은 국가형인 인천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바이오 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고, 대전시도 2025년부터는 본격 운영안을 담은 로드맵을 밝혀 추진력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전시가 처음 제안한 ‘K-바이오 랩허브’는 2021년 7월 국가공모사업에서 탈락했다. 대전시가 구상하고 제안한 아이디어였지만 정부가 전국 공모로 전환하면서 유치에 실패했는데, 균형발전이라는 정부 기조에서 퇴행한 결정이라는 점에서 비수도권 소외론이 일파만파 커지기도 했다. 그러나 대전시는 바이오 랩허브를 구상했던 기본으로 돌아가 '대전형'으로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약 7개월 만에 본격적인 조성 착수를 앞둔 상태다.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형 바이오 랩허브 총예산은 451억 원이다. 이 가운데 올해는 53억 원을 확보했고, 향후 3년 동안 국비 100억 원을 시설 조성 분야에 투입할 예정이다.
대전형 바이오창업 지원시설 위치도와 위성사진. |
대전시 관계자는 "한남대는 법인이라서 교육부 승인이 우선이다. 감정평가 후 교육부 승인, 그리고 한남대와 매입 합의가 완료되면 부지와 관련된 절차는 매듭짓는다"고 설명했다.
2024년 말 준공이 목표기 때문에 올해 부지를 매입하면 곧바로 건축설계에 들어간다. 이후 2023년에는 건축 착공에 들어가 최종적으로 2025년 운영으로 이어지는 로드맵이다.
대전형 바이오 랩허브는 바이오 예비창업 기업을 육성하는 생태계 구성이 가장 큰 목적이다. 공동으로 쓸 수 있는 장비가 입실하고, 연구실과 세미나실, 사무실 정도만 갖추면 되기 때문에 사실상 어려운 조성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국가형인 인천보다 지자체 주도인 대전형이 더 빠르게 안착할 것으로 봤다. 인천의 경우 대규모 사업비를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우선 예비타당성부터 넘어야 하는데 다른 사업에서도 봤듯이 쉽지 않은 절차라는 이유다.
지역 과학계 전문가는 "대전이 국가공모사업을 유치했더라도 가장 걱정했던 부분이 예타 통과였다"라면서 "대전형은 이미 조성된 지역의 과학·연구·의료·인력 등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빠르게 정착되고 운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바이오 랩허브 공모사업을 준비하며 구성했던 추진기획단은 몸집을 줄여 2월부터 실무추진단으로 운영한다. 각 연구기관과 의료기관 원장들로 약 30명이었으나 10명 내외로 압축해 실질적으로 바이오 창업지원시설 운영을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형 바이오 랩허브는 공모사업 후속작이 아니라 대전의 주력산업으로 전국의 바이오 창업 관련 모든 기업을 하나로 잇는 허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