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향민·이산가족이 풀지 못한 한 어찌합니까" 선우훈씨 사모곡 75년

  • 사람들
  • 인터뷰

"실향민·이산가족이 풀지 못한 한 어찌합니까" 선우훈씨 사모곡 75년

선우훈씨 피난 후 전쟁으로 이산가족 운명
북녘에 어머니와 여동생 찾아 75년 노력
"실향민 애환 공감하는 문화 줄어 안타까워"

  • 승인 2022-01-25 16:54
  • 신문게재 2022-01-26 10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선우훈씨
실향민 선우훈씨가 22일 지정석 이북도민 대전시연합회장 자택에서 중도일보와 만나 이산가족으로 산 75년을 돌아봤다.
"고향을 떠난 지 75년, 어머니는 어떻게 나이드셨을까. 고향은 얼마나 변했을까 그립지 않을 수 있겠소."

디아스포라(Diaspora), 고향을 떠나 흩어진 사람들을 의미한다. 한민족에게도 디아스포라의 역사가 아직 아물지 않은 채 남아 있는데 광복 직후 정치적 혼란과 한국전쟁으로 가족 그리고 고향과 생이별한 실향민이 그들이다.

중도일보가 지난 22일 만난 선우훈(90) 씨도 1946년 남한에 온 가족이 정착할 곳을 마련하려고 평안북도 정주군의 고향을 잠시 떠난것이 돌이킬 수 없는 이산가족 운명을 맞았다. 선우 씨는 "숙청이라 해서 정치적 사상이 맞지 않은 사람을 강제로 쫓고 재산도 몰수하는 상황에서 남한으로 피난을 와야 했다"라며 "남한에 정착할 곳을 마련해 모든 가족을 모은다는 게 그대로 전쟁이 터지면서 생이별을 했다"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선우 씨는 북녘에 어머니(최수향 씨)와 여동생(선우영화 씨) 그리고 작은아버지를 두고 할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작은아버지와 함께 남한에 먼저 정착했다. 경기도 동두천 수용소에서 잠시 생활한 뒤 경북 풍귀에서 화전을 일구며 기반을 닦던 중 6·25전쟁을 맞았다.



선우 씨는 "화전을 일구며 감자도 심고 남은 가족들이 모이는 날만 기다렸는데 그대로 전쟁에 쫓겨 경북 김해까지 피난을 가야했고, 이후로 북녘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았다"라고 한탄했다.

더 속상한 것은 어머니의 손위 이모를 전쟁 직후 남한에서 만났는데 함께 내려가자는 제안에 어머니는 "아들이 곧 찾으러 올 텐데 길이 엇갈려 못 만나면 어떻게 하냐"며 집을 지켰다는 것이다.

선우 씨는 "그때 어머니가 이모님과 함께 피난하셨다면 지금처럼 어머니 손을 평생 못 잡는 일은 없었을텐데"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선우 씨는 1983년 이산가족 찾기나 대한적십자를 통해서도 어머니와 여동생을 찾는 일을 멈추지 않았지만 끝내 연락이 닿지 않았고, 월남한 가족이 있는 주민들을 타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켰다는 풍문만 들을 수 있었다.

남한에 남은 선우 씨는 아버지와 함께 공주에 정착해 영명학교를 다니며 틈틈이 카메라 기술을 배워 가족을 일궜다. 어디를 가도 "이북네, 이북놈"이라는 멸시를 견뎌야 했고, 한때는 신고를 당해 무고한 조사를 받아야 했다. 북한에서 쓰던 이름 선우순을 선우훈으로 바꾼 이유도 차별을 견디기 위해서다. 그는 이제 아이들을 모두 키우고 아내와 편안히 지내고 있지만,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은 여전하다. 특히, 명절이면 이산가족이나 남북통일을 이야기하던 문화도 차츰 사그라들어 이제는 언급도 되지 않는 현실이 안타깝다.

선우훈 씨는 "실향민 1세대는 거의 남아있지 않고 고향과 북녘 가족을 그리워하며 한을 풀지 못한 이들이 많다는 것을 우리사회는 잊은 것 같다"라며 "남북관계와 별개로 이산가족과 실향민에 대한 관심 그리고 민족에 대한 고민은 멈춰서는 안 된다"라고 당부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사랑메세나, 와인푸드페스티벌에 다문화가족들 초대
  2. 대전학하초 이전 개교, 아파트 입주보다 뒤로… 학생 전학 등 혼선 우려
  3. 2024년 3분기 중도일보 우수기자상, 사회과학부·경제부 '공동대상'
  4. 재건축서 제척된 노후주택 10여세대 덩그러니…원주민 피해 '심각'
  5. 대전기상청, 농업기후달력 제작해 농민들 배포
  1. [부고]김세영 목요언론인클럽 고문 본인상
  2. 국가위성정보 개방·재난재해 대비에 이용한다… 2회 국가우주위 열려
  3. [사설] 체류형 쉼터·농막 설치 완화, 좋은 방향이다
  4. ‘해바라기 꽃이 피었습니다’
  5. [사설] 의료진 헌신이 빚은 '하늘이의 기적'

헤드라인 뉴스


계곡 구덩이에 켜켜이… 대전 골령골 학살유해 또 발굴

계곡 구덩이에 켜켜이… 대전 골령골 학살유해 또 발굴

대전 골령골의 한 과실수 농장을 이전한 곳에서 6·25전쟁 때 우리군과 경찰에 의해 희생된 민간인 유해가 또다시 발견돼 발굴조사를 벌였다. 진실화해위원회와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은 10월 7일부터 골령골 2학살지에서 유해발굴 작업을 통해 지금까지 20~30명에 이르는 유해를 찾았다고 29일 밝혔다. 골령골 2학살지 현장은 1학살지 추모비가 있는 곳에서 500m가량 떨어진 산비탈인데 과거에는 물이 흐르는 계곡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최근까지 블루베리 과실수 농사를 짓던 곳으로 농장이 다른 곳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표면에서 신체..

“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위해 정치권이 물꼬 터줘야”
“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위해 정치권이 물꼬 터줘야”

“혁신도시 2차 공공기관 이전사업은 뜨거운 감자이기 때문에 피하는 겁니다” “문재인 정부도 못했고, 윤석열 정부도 실행을 못 하고 있죠” ‘윤석열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사업을 사실상 폐기한 것 아니냐’는 중도일보의 질문에 대한 박형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부산시장)의 대답이다. 10월 29일 지방자치의 날을 맞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마련한 대통령실 지역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다. 박 회장은 “이거(2차 공공기관 이전) 던지는 순간, 지역마다 ‘이거 와야 한다, 저거 와야 한다’며 싸움이 일어날 게 뻔하고, 그 싸움을 감당할 정..

금융권 `총 400조 규모 퇴직연금 고객 잡아라`…실물이전 서비스 31일 개시
금융권 '총 400조 규모 퇴직연금 고객 잡아라'…실물이전 서비스 31일 개시

보유하고 있는 퇴직연금 상품을 해지 비용 없이 다른 금융사로 갈아탈 수 있는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31일부터 시작된다. 약 400조원 규모의 퇴직연금이 시장에 풀리는 것으로, 은행과 증권사들은 고객유치를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29일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는 가입자들의 선택권을 높이고, 사업자들의 경쟁을 통한 수익률 개선을 위해 도입했다. 그동안 퇴직연금 계좌를 다른 사업자로 이전하려면 기존 상품 해지에 따른 비용과 환매 및 재매수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변화로 인한 손실이 발생해 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해바라기 꽃이 피었습니다’ ‘해바라기 꽃이 피었습니다’

  • 공동주택 화재 인명구조 훈련 공동주택 화재 인명구조 훈련

  • 대전 도안 갑천 생태호수공원의 웅장한 자태…‘내년 3월에 만나요’ 대전 도안 갑천 생태호수공원의 웅장한 자태…‘내년 3월에 만나요’

  • 의대생 휴학에 가운만 놓인 의과대학 강의실 의대생 휴학에 가운만 놓인 의과대학 강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