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시도의 경우 지자체와 교육청이 통합 센터를 설립해 운영 중이나, 대전은 협의체 구성을 통한 회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해당 지역 특색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목적인 만큼, 구마다 교육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자체와 교육청의 중간 센터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5개 자치구와 교육청은 '대전 행복이음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해당 사업은 자치구가 가지고 있는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환경에 맞는 교육공동체 기반을 조성하는 게 주된 목적이다. 특히 지역 특색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써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인구 유입 효과까지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자치구의 의지에 따라 사업 편차가 크게 나고 있다.
지난해 대덕구가 투자한 예산은 2억 7000만 원이었으나, 중구는 3000만 원이다. 대덕구와 중구 모두 지역에선 비교적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편에 속하지만, 대덕구는 자체 예산을 투입하면서까지 교육 복지에 힘쓰고 있다.
이같이 지역 내에서 불균형이 발생하는 데에는 중간 조직이 없다는 점이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지자체와 교육청은 별도의 기관이기 때문에 각자 사업을 조언해 주는 단계에서 그치고 있다.
실제로 경기 광주시의 경우 '혁신교육협력지원센터'를 운영 중이다. 센터는 지자체와 교육청의 중간 조직 형태로, 지역교육 인프라를 발굴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해 시행한다.
반면 대전의 경우 혁신교육지구 사업 담당자 등이 모여 있는 협의체 회의가 2개월에 한 번씩 열린다. 회의에선 프로그램 업무를 공유하고 사업 추진 실적에 대해 논의한다.
대전 한 자치구 관계자는 "교육은 기존엔 교육청 소관이었다면 이젠 지자체와 교육청뿐만 아니라 마을이 함께 하는 것으로 변했다"며 "공동체 교육을 실천하는 게 주된 목적이나 자치구, 교육청 기관이 다르다 보니 중간 조직을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이건 아마 전국적으로 고민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전교육청은 "별도 혁신교육지구 센터는 없지만 마을교육지원센터라고 동·서부에 각 1곳씩 존재해, 혁신교육 사업을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협의회를 통해서도 꾸준히 소통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