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학이 입학자원 급감의 파고를 넘어설 방법은 '취업'과 '창업'에 있다고 보고, 산학협력 중심 체계로 발 빠르게 전환하는 모습이다. 대학이 지속가능성을 높이려면 지역 기업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데 따른 것이다.
우선 한남대는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2022~2026)'을 수립해 산학연협력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 새로운 혁신성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 20일에는 LINC+사업단 주관으로 20일 56주년기념관 서의필홀에서 '제10회 산학협력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새롭게 수립한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 비전을 선포하기도 했다. 계획에는 지역사회, 산업체 등에서 요구하는 정책방향을 7개 전략, 14개 전략과제에 담았으며, 사회 맞춤형 인재 양성 대학-지역산업-지자체의 협력을 통해 신성장을 선도하는 산학연 비전실현을 이룬다는 게 대학의 계획이다.
충남대와 한밭대도 산학·지역협력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충남대는 지역협력이 국가발전의 주요 전략으로 부상한 만큼 산학 지역협력의 성과를 공유 분석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24일부터 28일까지 산학 지역협력 페스티벌을 온라인으로 갖고,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을 앞당기고 있다. 한밭대도 대학 지역 공유협력 기반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는 등 학생의 산학연계 현장교육, 지역산업 진흥을 위한 연계사업 공동 추진 등에 주력하고 있다.
건양대는 의료 부분 강점을 내세우며,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의 판로 확대에 중점을 두고 산학협력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1월 메디바이오 신뢰성센터를 설립해 다수의 의료기기 관련 기업의 제품 신뢰성 문제 발생으로 의료기기 시장에 진입을 하지 못하는 애로사항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지역기업과 지역사회의 현안이 곧 대학의 문제라는 인식을 갖고 대학이 지역과 상호협력해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는 게 대학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기부 활성화와 산학협력 강화 등은 기존 되풀이되던 대책인 만큼 대학 위기를 제대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혁신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립대 한 산학팀장은 "대학은 정원이 미달하거나 취업이 부진하면 단순히 구조 조정만 해왔는데, 근본적으로 지역사회와 대학이 머리를 맞대고 차별화된 특성화를 꾀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 대안으로 산학협력이 주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데, 이 또한 대학별 차별화가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 한 관계자는 "대학은 인재 양성뿐 아니라 보유한 기술과 지식을 언제든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며 "기업 수요에 맞는 현장실습을 활성화해 기업은 원하는 인력을 발굴하고, 학생은 다양한 실무 경험의 기회를 얻도록 하는 선순환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