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과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인프라와 연계한다면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우주 관련 학과가 있는 곳은 카이스트와 충남대다.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는 1979년 설립됐으며, 항공기, 무인기 및 드론,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등 위성항법 시스템 등 비행과 우주 탐사를 위한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도 1992년 신설됐으며 우주 비행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설계, 해석 등을 교육하며 항공우주산업 육성에 필요한 우수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대학 관계자들은 이러한 지역 특성을 고려한 특색 학과가 지역대학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라고 얘기한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지역대학에 타격이 가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특성 학과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다. 지역대학의 인프라인 '우주항공학과'는 지역에 있는 민간기업, 항공우주연구원과 연계하고 있는데, 여기에 우주 관련 산업을 총괄할 '우주청'까지 대전에 신설되면 큰 파급효과까지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이다.
지역대학 한 관계자는 "대부분 대학에 있는 인문학 계열 학과들은 경쟁력이 없다"며 "다른 학교엔 없는 전공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역 특색에 맞는 학과가 있다면 지역대학에도 힘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일부 대선 후보가 '(가칭)우주청'을 경남에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최적지는 대전이라는 목소리를 꾸준히 내놓고 있다. 20일 대전지역 과학기술 관련 단체 등 20명은 "우주항공 개발과 신산업, 국가 안보를 전략적으로 선도할 우주청은 대전에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지속적으로 우주산업을 총괄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해 왔다"며 "일각에서 우주청 신설을 놓고 경남을 얘기하고 있는데 경남은 대전과는 다르게 우주 관련 인프라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