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어떤 전설-독서의 선과(善果)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어떤 전설-독서의 선과(善果)

  • 승인 2022-01-2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서점을 찾았다. 손님이 뜸했다. <월간 여행스케치>를 샀다. 뒷면에 '한국 ABC 협회 2020 공지 결과 잡지 인증 부수'가 게재되어 눈길을 끌었다. 이에 따르면 실제 판매를 의미하는 '유료부수'를 기준으로 할 때 1위는 35,507부인 '여행스케치'였다.

2위는 '여성조선'(29,432), 3위엔 '연합이매진'(23,853)이 올랐다. 4위엔 '월간조선'(20,052), 그 뒤를 이어 5위는 '월간 샘터'가 17,988부로 점프했다.

압도적 1위에는 '음식과 사람'이 무려 300,000부로, 2위는 '인산의학'이 158,516부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한국 ABC 협회가 인정하는 잡지 인증 부수는 실제 판매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므로 별 의미가 없는 셈이다.

나는 지금도 '여행스케치' 외 '월간조선'과 '월간 샘터'를 구독한다. 특히 '월간 샘터'는 오랫동안 정기독자로 돈독한 정을 쌓아왔다. '월간 샘터'는 경영상황 악화 등으로 2019년 폐간 위기를 맞기도 했다.



그렇지만, 나와 같은 열혈독자들의 기부 등으로 위기에서 벗어났다. 하지만 '월간 샘터'는 한때 정기구독자 수 50만 명을 넘나들며 이른바 '국민 잡지' 역할을 했던 정말 대단한 잡지였다.

이해인 수녀와 법정 스님, 피천득 수필가, 정채봉 동화작가, 최인호 소설가, 장영희 교수 등이 필진으로 참여했을 정도로 필진까지 막강했다. 이쯤에서 과거를 잠시 소환한다.

80년대 중후반기 무렵 당시엔 지금처럼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이 없거나 활성화되지 못했다. 따라서 아날로그적인 정기구독 독자가 많았다. 당시 나는 모 언론사에서 판매부장을 했다.

일간지 외에도 시사 주간지와 월간지를 발행하는 회사였다. 여기서 나는 월간지를 집중적으로 판매하는 세일즈맨으로 일했다. 1년 치 구독료를 선납으로 받고 우편으로 보내주는 시스템이었다.

그때 나는 보통 한 달에 500~600명의 신규독자를 유치하는 발군의 실력을 뽐냈다. 당연히 전국 판매왕에 등극했다. 돈도 잘 벌었다. 당시 동네에서 승용차가 있는 집은 내가 유일했다.

금상첨화가 이어졌다. '최우수판매사원'이라고 동남아 여행 티켓이 포상으로 나왔다. 그런데 여행 일정이 공교롭게 관공서 정기인사 시즌과 맞물렸다. '메뚜기도 한철'이라고 이때는 매출이 더욱 껑충 뛰는 시기였다.

나 대신 같이 근무하던 직원에게 양보했다. 덕분에 그는 공짜로 동남아 구경을 잘하고 왔다며 귀국 즉시 술을 샀다. 백구과극(白駒過隙)은 '흰 말이 지나가는 순간을 문틈으로 보듯 눈 깜빡할 사이'라는 뜻이다.

세월은 그처럼 참 빠르다. 또한 빠른 만큼의 변화를 요구한다. 쓸데없는 잔소리겠지만 당시의 내 실적만을 추출하여 지금의 '한국 ABC 협회 공지 결과 잡지 인증 부수'에 삽입한다면 어떤 결과가 도출될까?

그 회사에서 약 6년간 근무했으니 어림잡아도 독자 수만 무려 36,000명(월 500명 x 12달 x 6년)에 이를 듯싶다. 이를 오늘날에 대입한다면 단숨에 유료부수 독자 1위에 올라선다.

이렇게 괜한 소리를 하는 까닭은 작금 독서인구가 얼추 절멸한 때문이다. 철 지난 바닷가처럼 황량한 서점에서도 확인했듯 지금 지하철이나 시내버스에서도 책을 보는 사람은 없다.

오는 주말이면 명불허전의 교수 겸 학자인 지인이 출판기념회를 한다. 난 그동안 네 권의 저서를 출간했지만, 입때껏 화려한 출판기념회는 못 해봤다.

다만 대전문화재단에 신청한 출판 사업비 지원 요청이 순조로이 이뤄진다면 올봄 안으로 다섯 번째 저서를 낼 수 있다. 한때 연간 6,000명의 신규독자를 창출했던 어떤 전설의 세일즈맨은 이제 사라지고 없다.

그렇지만 나는 지금도 책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오늘날 기자가 되고 작가까지 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꾸준한 독서가 가져다준 선과(善果)였다. 그나마 여기서 일말의 위안을 얻는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초경서반-홍경석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1.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