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대전시와 산학연이 모두 참여하는 우주협의체를 구성해 청(廳) 신설에 힘을 모으고, 장기적으로는 산업체가 있는 경남과 초광역 우주 클러스터로 상생할 방안 찾기에 주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대전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지역 내 우주 관련 기업체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쎄트렉아이'를 비롯해 40여곳이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여기에 드론과 국방, 센서, 제어, 소부품, 소재 등 전방위적으로 분야를 확대하면 300곳에 달하는 산업군도 형성돼 있다.
쎄트렉아이는 국내에서 유일한 위성시스템 수출기업으로 검증된 위성체계 개발능력을 보유한 전문기업이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위성 지상국 솔루션, 위성 발사 영상 분석 전문 기업인데, 올해 세종 1호~5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솔탑(SOLTOP)은 지상체와 위성시스템 전문기업, 두시텍(DusiTech)은 복합항법 분야에서 핵심기술을 개발해 왔다. 위월드(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이동형 위성 추적 안테나를 수출하는 기업이다.
대전지역 과학기술계 관련기관 단체와 전문가들이 20일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우주항공청의 대전 설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대학도 많다. 충남대와 한밭대, KAIST, 공주대는 우주 분야 인재를 육성하며 특화된 영역을 구축 중이다. 한밭대의 경우 100억 원에 달하는 초정밀 가공 제조 인프라를 구축했고, 향후 소규모 인공위성 개발과 조립, 평가가 가능한 연구실을 구축할 예정이다.
지역 과학계 인사는 "우주 분야는 융복합 산업이라서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주요 우주 기업체는 40곳, 벤처부터 소부품까지 관련 전 산업을 집약하면 300곳 이상이 대전에 있다"며 "우주청은 정책과 행정적 기능이 크기 때문에 인근에 있는 산학연을 통합해 컨트롤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요한 것은 대전의 관련기업 대다수는 관측과 제어 등 발사체와 인공위성 개발에 헤드가 되는 주요 분야 핵심 기술력을 갖췄다는 점이다. 대전이 헤드라면 경남은 몸체가 되는 산업체가 집결해 있다는 얘기다. 결국 우주청 설립을 놓고 지역 간 다툼보다는 초광역 클러스터로 상생하는 구조로 힘을 모아야만 우주 분야 신산업 발전도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김건희 한밭대 기계소재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우주청은 대전에 있되, 대전과 경남이 초광역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 과학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라고 말했고, 양명승 전임 과학기술기관장협의회장은 "과학기술적 관점에서 우주청은 대전이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제263회 임시회 산업건설위원회 주요 업무 보고에서 "산학연과 우주협의체를 신설하겠다"고 밝혀 본격적인 우주청 신설을 위한 기반 인프라 정비에 들어가겠다는 입장을 확고히 하는 모습이다.
한편 과학계 전문가들은 항공은 산업체가 이미 완성돼 있고 우주 분야와는 결이 달라 항공우주청보다는 우주청으로 노선을 정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