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사업 추진을 해야 하기 때문인데, 자체 예산까지 투입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자치구가 있는 반면 대전교육청에서 전출한 예산조차 불용한 자치구도 있다.
결국 특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성패는 단체장의 의지에 달린 셈이다.
19일 대전교육청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혁신교육지구'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지역 교육공동체를 구축해 나가는 사업이다. 청소년들의 교육이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학교 밖에서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목적이다.
대전교육청은 2019년부터 5개 자치구와 협력을 맺어 사업을 추진 중이며, 지역 맞춤형 교육을 발굴해 나가고 있다. 매년 5개 구에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여건이 되는 구는 자체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문제는 사업 내용뿐만 아니라 투자되는 예산도 구마다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5개 자치구 중 예산이 가장 많은 곳은 유성구다. 지난해 예산은 2억 2000만 원이었으며, 올해 계획된 예산은 3억 6000만 원(교육청 1억 6000만 원, 교육부 1억 원 포함) 이다. 유성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진행 중인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한 '미래교육지구 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어 대덕구는 2021년 예산은 2억 7340만 원이었으며, 올해도 소폭 증가해 2억 8840만 원(교육청 2억 3000만 원 포함)을 투자한다.
서구의 지난해 예산은 2억 5500만 원이었으며 올해는 2억 4900만 원이다. 동구는 지난해 예산이 1억 7300만 원이었으며, 올해 계획된 예산은 1억 6000(교육청 1억 2000만 원 포함)만 원이다.
자치구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많게는 1억 원, 적게는 4000만 원까지 자체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중구만 올해 교육청으로 부서 예산 지원을 받지 못했다. 2020년 1억 원, 2021년 1억 원을 교육청으로부터 지원받았으나, 2020년부터 사업을 지속 이월했기 때문이다. 결국, 연속 이월은 어려워 도리어 1억 원을 반납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집행 금액도 3000만 원에 그쳤다.
중구 관계자는 "사업 자체가 비대면으로 진행하기엔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코로나 상황이 잠잠해지면 추진하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았다"며 "2021년 하반기엔 비대면으로 가능한 일부 사업을 진행했으며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확대된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