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는 올해 32년 만에 개정되는 지방자치법에 따라 인사권 독립부터 의원들의 전문 역량까지 많은 변화가 예고된다. 구의회는 구민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는 가장 최전선으로 민생정치의 기본이 된다. 대전 5개 구의회 의장들에게 공통질문을 던졌다. 올해 의회 방향과 구민을 위한 정치 방향성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주>
-지방자치법이 전면 개정된다. 올해 의회 방향은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가?
▲지방자치법 1월 13일부터 개정된다. 보좌관제는 의원 수의 2분 1인데, 단계적 1년마다 늘어난다. 다수 인력이 전문위원실에 투입돼서 의원들 보좌하게 될 텐데 의원들의 역량이 높아져야 한다고 본다. 의원들의 경우 겸직을 법적으로 신고하게 돼 있는데 겸직을 하게 되면 의정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다. 이는 주민들 위해서도 결단해야 하는 문제다.
다만 의원들이 구정에 올인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월정수당 구조도 바뀌어야 할 것 같다. 기초의원 경우 현장에서 민원을 많이 듣는다. 주민 간의 갈등 문제 등을 다루기 때문에 의원들의 전문성은 물론이고 대우도 점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2021년 유성구의회는 30년을 맞았는데, 의원들도 젊어지고 있어 올해도 새로운 변화가 기대된다.
-구민을 위한 정치, 어떤 목표에 방점을 두고 있나.
▲사회적 약자 복지 사각지대에 사람들이 있다. 주민센터 복지직들이 열심히 활동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발굴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세모녀 사건 등 안타까운 사례가 대전에서 발생해선 안 된다. 그래서 민생 현장에 있는 분들이 중요하다. 가스 검침을 하시는 분들 그리고 통장들과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저출산 문제도 매우 심각하다. 오랫동안 둘째 자녀부터 다자녀로 바꾸자고 제안해 왔지만 정책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 저출산의 심각성 문제를 최근 대전시에서도 차츰 정책에 반영하고 있어서 이를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도록 하겠다.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문제도 바라보고 있다. 행사나 기관에 휠체어를 위한 경사로가 없는 곳도 많고, 장애인이 이용하는 화장실도 형식적으로 설치된 경우가 많다. 임기 동안 낮은 곳을 바라보겠다. 여성, 아동 그리고 보육 그리고 장애인까지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 발굴에 힘쓰고자 한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