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과학수도 지정까지는 제도적 장치와 관련 법이 필요해 갈 길이 먼데, 여기에 가칭 '항공우주청' 설립 논란이 대선 정국 이슈로 떠오르며 뜻밖의 암초를 만난 형국이 됐다.
우주청 설립은 현재까지 선언에 불과하지만, 과학수도 지정에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에서 반드시 대전 유치는 사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렇기에 정치적 이슈가 아닌 우주산업 미래, 국가의 미래 발전 방향을 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 말 대덕특구 재창조 마스터플랜을 완성했다. 34개 과제를 도출했고 4개의 워킹그룹에 실행 과제를 발굴 중이다. 이 가운데 하나의 축에서 법률 방향을 검토 중인데, 과학수도 지정을 위한 절차상 과정과 중앙정부와의 교감에 주력하고 있다.
대전시가 표방하는 과학수도는 서울이나 세종시가 가진 수도와는 결이 다르다. 중앙정부가 주도해서 수도 정착이 명문화되는 것이 아니고 지방자치단체가 구상한 수도 비전을 중앙정부가 선언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1970년부터 대전에 정착한 대덕특구는 2023년 발족 50년을 맞이한다. 그동안 명실상부 과학도시로 불려 왔지만 과학을 발판으로 성장한 역사는 아니다.
대덕특구 전경. |
대전시가 2023년을 기점으로 대덕특구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전략적 밑그림을 그리겠다고 선언한 이유기도 하다. 대덕특구 재창조는 이렇게 탄생했고, 과학수도 지정은 대전과 크게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관철돼야 할 명분으로 확고히 틀을 갖추고 몸집을 키우는 중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은 과학, 광주는 문화수도로 선언했다. 그러나 정부의 인증 없이 선언에만 그치면 의미가 없다. 제도적 장치, 법, 인프라 구축 등 조건들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난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는 4월~5월께 발표하는 종합계획에 구체화 된 과학수도 비전이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측면에서 우주청 대전 설립은 과학수도에 방점을 찍는다.
청(廳)단위 기관을 대전에 밀집하겠다는 정부의 약속과 함께 항공우주산업과 국방안보 연구시설을 품은 대덕특구가 있는 대전이 최적지임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까지 세종에 위치해 우주국방산업의 컨트롤타워는 '대전' 이 적지라는 얘기다.
대전시 고위 관계자는 "대전시가 표방하는 과학도시는 대전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위한 것"이라며 "지방소멸을 막을 행정과 과학 트윈 타워를 설립해 대전을 넘어 중부권 개발까지 담게 되는 것이다. 정치적 논리가 개입되지 않고 미래 국가발전을 봐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지역 과학 및 행정 전문가들은 우주 분야는 융합과학으로 과학, 안보, 산업까지 전략적으로 접근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항공은 국가주도로 이끌어 가는 분야기 때문에 초광역 클러스터라는 방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전에서 행정, 국방, R&D, 소부장 벤처기업의 서포터, 실증까지 진행하고, 경남은 최종적 양산을 맡는 것으로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전략을 짜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대덕특구 재창조의 핵심은 융합과 연계다. 미래 핵심적인 과학기술이 항공인데 연구와 집적시설을 모두 갖춘 대전이 우주의 컨트롤타워가 되는 것이 맞다"라며 "과학수도 지정 비전에도 우주청 설립이 중요한 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