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야 할 대사가 정해져 있는 연극은, 그러면서도 언어를 넘어선 가슴 속 진실이 묻어나야만 감동을 일으키는 힘이 생깁니다. 연출가인 주인공은 배우들에게 상투적으로 훈련된 억지 감정을 빼기 위해 천천히 기계적으로 읽는 연습을 오래도록 시킵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훅 올라오는 진실한 감정을 잡아내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그는 정작 실제 삶에서는 연극의 정해진 대사처럼 말하고, 적당한 선에서 사람을 대하며 행동합니다. 가슴 속 깊은 진실의 감정과 거기서 우러나오는 언어를 말하지 못합니다. 가장 가까운 부인의 외도마저 거리를 지키며 회피합니다. 관계를 지키려는 의도가 오히려 내밀한 진실을 직면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주인공 가후쿠가 몰고 다니는 19년 된 차에는 늘 녹음된 연극의 대사가 흘러나옵니다. 그가 늘상 배역을 맡아온 바냐 아저씨의 대사만 빠져 있습니다. 진실한 감정이 묻어나는 대사를 연습하는 그는 정작 무대 위에서 체호프의 희곡 대사와 현실의 자신을 경계 짓지 못하고 흔들립니다. 눈이 많이 내린 홋카이도의 어느 언덕에서 임시로 고용된 젊은 여성 운전자와 지나온 상처를 나누며 그도 그녀도 삶의 진실을 직면할 용기를 얻습니다.
영화 속 인물들처럼 우리도 공간과 시간 속에서 살아갑니다.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 서로 다른 언어들과 수어(手語)가 사용되는 영화 속 연극 무대에서 배우들은 상대 배우의 대사에 대답하며 자신을 표현합니다. 언어를 넘어선 진실의 감정으로 소통합니다. 때론 타인들 앞에서, 또 자신 앞에서 우리는 어떤 언어로 어떻게 답하며 살고 있을까요? 영화는 새해 벽두부터 묵직한 질문을 던집니다.
이 작품은 꽤 깁니다. 러닝타임이 세 시간에 달합니다. 그럼에도 영화는 밀도와 긴장을 유지합니다. 이른바 일본의 젊은 거장으로 불리며 칸, 골든글러브 등에서 수상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연출력이 돋보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