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찬 한국ITS학회 스마트모빌리티위원장 "지역 내 기관과 협조하면 지리적 위치에서 도움될 것"
한 개 수단을 운영하던 기관이 교통 전체를 운영하는 것은 큰 변화다. 어려움도 많고 마찰도 많을 것이지만 기대도 많다. 대전은 당장 공유자전거, 콜택시 여러 수단이 바로 연계되기 때문에 다른 기관에서 점차적으로 가는 교통기관보다 빠르게 갈 것이라 기대된다.
대전은 데이터 웨어 하우스가 잘 구축돼 있다. 현재는 대전에만 남아 있다. 교통공사가 출범하면서 그 데이터를 활용하면 많은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카이스트도 있고, 교통연구원도 있어서 근처에 있는 기관들과 협조하면 교통공사가 다른 곳보다 지역적 위치가 있어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민간-공공의 역할을 얘기했는데, 민간에서 주도하는 것을 찬성한다. PM 업체만 해도 16~17곳이다. 그 데이터를 한 곳에 제공하기 어렵다. 그런 데이터는 공공에서 데이터를 제공해서 그 아이디어로 사업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민간이 잘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해주면 좋겠다.
Maas는 통합교통을 제공하는 서비스라 추진 주체가 중요하다. 대전교통공사가 구심점으로 발돋움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주신 것에 감사하다. 광역시도 단위에서 마스를 선언하고 추진하는 사례가 첫 번째라서 바라보는 기대가 크다. 대전형 마스가 타 시도에도 모범사례가 되길 바란다.
대광위가 발표한 '광역교통 2040'이 있다. 여러 인프라 내용이 있지만, 광역마스도 포함돼 있다. 교통의 미래가 마스로 귀결될 것으로 보인다. 여러 가지 고민이 필요하다. 지자체, 업계, 전문가 여러분의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대전형 마스는 대전에서 끝날 수 없다. 세종과 충청권과 함께 묶어서 가야 한다. 광역단위, 대전과 세종, 충청권까지 통행량이 갈수록 증가한다. 그렇다면 대전형 마스도 대전 시내뿐 아니라 광역 통행도 염두에 두고 추진해야 한다.
광역단위, 도시 내의 교통만 마스로 구축해도 여러 문제가 있지만 광역 단위로 구축한다면 각 고민을 조화가 돼야 하기에 초기 단계부터 인근 광역 시·도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광역교통요금과에서는 여러 사안을 봐서 광역단위 마스 협의체를 하나 출범할까 고민 중이다. 대전권은 대전·세종·충청이 들어와야 한다. 지자체 협의를 통해서 사전에 시행착오가 없도록 협의를 사전에 했으면 한다.
두 번째로 대중교통을 통합하는 모델인데, 광역관점에서 본다면 KTX 고속, 시외버스와도 연계하는 추진 방향을 고민해서 담아야 한다. 업계에서도 말했듯이 공공, 민간, 하이브리드는 쉽게 결정할 수 없다. 민간에서는 거의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현대차도 자동차 업체도 모빌리티로 뛰어드는 상황을 보면 민간 경쟁은 고민의 수준이 높다. 공공, 지자체는 그에 맞는 대응 방안을 가지고 있느냐는 같이 고민해야 한다. 민간이 맞느냐 공공이 맞느냐는 공공사이드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어떤 기준으로 대응할지 봐야 한다. 서비스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광역권 마스 협의체를 통해서 논의해서 정리해야 한다.
마스를 도시계획, 상업, 관광과 고려해서 마스 자체에 시민 교통 편의뿐 아니라 지역발전과도 연계하는 방안을 고민하면 좋겠다. 대전형 마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향후 전국 단위의 마스가 구축되는데, 대전이 큰 역할을 하길 바란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