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한 다리 밑 노숙인 거주 장소에서 대전시노숙인종합지원센터 직원들이 지원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는 최근 제2차 노숙인 복지·자립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2021년도 노숙인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노숙인은 8956명으로 2016년 실태조사 때 1만1340명보다 21% 감소했다. 이중 충북 637명, 대전 259명, 세종 92명, 충남 61명 등 충청권에 1049명이 일정한 주거 없이 노숙 환경에서 지내고 있으며, 2016년 1239명보다는 15.3% 줄어든 수준이다.
식사와 잠자리를 거리에서 해결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계기는 실직(43.3%)과 사업실패(12.4%)가 가장 많았고 이혼 및 가족해체(11.2%) 순으로 조사됐다. 또 생활시설에서 지내는 노숙인 중 32.7%는 60세 이상 고령이고, 52%는 등록장애인이며, 여성의 비율도 2016년 6.4%에서 2021년 9.2%까지 증가하는 등 취약계층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최근 3개월간 지출한 비용 중 32%를 식료품 구입에 사용했고, 아파도 병원에 가지 않고 참는다는 응답 비율이 37.5%에 달해 의료적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올해 대전역을 비롯해 거리노숙인 주요 밀집지역에 현장진료센터 설치를 지자체에 권고하고, 알코올과 정신건강에 취약한 만성 노숙인에게 안정적 주거공간과 서비스 지원을 결합한 '서비스 결합 지원주택' 모델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다만, 노숙인 보호와 재활에 대한 지자체마다 정책과 수준이 다르고, 정부 여러 부처와 지자체를 연결할 협의체가 없다는 한계는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김의곤 대전시노숙인종합지원센터장은 "노숙 상황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치료하고 이를 극복해 일상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돕는 정책이 이번 제2차 종합계획에 일부 반영됐다"라며 "우울감과 자존감을 회복하는 데서 출발해 자립까지 이어지는 서비스 체계를 만들 수 있도록 노숙인에 대한 지역사회 관심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