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협 / 문학평론가 |
관객이나 시청자는 영화나 드라마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하면서 스토리를 따라가고 대리만족과 쾌락을 얻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선 고대 드라마 비극에서 이를 '카타르시스', 그리고 '공포와 연민'이라 정의하였다. 고대 비극에서 주인공과 동일시한 관객들은 무대 속 현실과 주인공, 또는 인물들의 갈등 속에서 연민을 간접 체험하고 비극적인 결말의 눈물을 통해 내면의 욕망들을 카타르시스(淨化)한다고 정의했다.
젊은 날 극이론을 공부하면서 극장 입구에서 헐리웃 영화를 보고 나오는 관객들의 표정과 태도를 통해 감정이입으로 동일시된 모습을 관찰하고 분석한 적이 있었다. 1990년대 초반 '터미네이터2'(1991년 7월 개봉)와 '귀여운 여인'(1990년 9월 개봉)이었다. '터미네이터2'를 보고나오는 남성 관객들은 대부분 마치 지구를 구한 아놀드 슈왈제네거 분의 터미네이터처럼 어깨에 힘이 잔뜩 들어가 있었고, '귀여운 여인'의 여성 관객들은 고개를 한껏 하늘로 치켜들고 마치 비비안 워드 역의 줄리아 로버츠가 된 듯한 표정들이었다.
요즘 핫한 넷플릭스 미니 시리즈나 영화들 속엔 어떤 대중들의 욕망과 꿈이 숨겨져 있을까? 대중문화 콘텐츠 속에 숨은 명대사를 통해 오늘을 사는 우리의 가식 없는 욕망과 꿈을 찾아 보자.
심상협 / 문학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