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의 독서문화진흥계획 장려 사업이며 지자체가 시비를 들여 책을 구입해 지원하는 것이 골자인데, 지역서점에서 책을 팔고 살 수 없다는 건 독서문화진흥이라는 취지와 동떨어진다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출판사업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전국의 오프라인 종합서점은 451곳이지만 2019년 471곳과 비교했을 때 1년 새 20곳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의 경우도 종합서점은 20곳이었지만 2020년 집계된 서점은 11곳으로 크게 줄었다.
이런 상황에서 북스타트 사업은 전국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다만 지역서점과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취지에 못 미치는 행정 운영이 아쉽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북스타트 사업은 문체부의 보조를 받아 ‘북스타트코리아’와 지자체가 함께하는 독서문화운동 사업이다. 대전은 올해 첫 사업을 시작하며 출생부터 책과 함께한다는 슬로건에 동참했다.
문제는 지자체가 시비를 들여 책을 구입하지만 북스타트코리아가 추천도서로 선정한 일부 출판사와만 직거래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중간 유통단계인 서점을 배제한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지역의 모 서점 관계자는 "시비를 사용하는 사업인 만큼, 서점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출판사와 직거래를 하는 것이 더 저렴해서 그렇다고 할지라도 신생아 책은 지역 서점에 오는 마진이 60%밖에 안 된다"며 "첫 단추는 아쉽지만 장기적으로 상생방안을 고민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역 출판사 관계자 역시 "출판사에서 책을 자체적으로 공급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유통은 서점 몫"이라며 "독서문화진흥 계획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사업이라면 서점을 배제하는 방식은 취지와도 맞지 않다"고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사업 목적이 서점지원이 아니다 보니 아마 북스타트코리아 측에서도 거기까지 고려하지 않고 설계하지 않았나 싶다"며 "동일한 예산으로 동일한 가격에 책을 구매할 수 있다면 지역서점에서 구매해도 좋을 거 같다. 다만 유통과정에 마진이 붙어 시비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