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세종 '특별자치'의 빈자리

  • 사회/교육
  • 교육/시험

[기고] 세종 '특별자치'의 빈자리

최교진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 승인 2021-12-16 17:34
  • 신문게재 2021-12-17 18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기고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역사는 지방자치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최초의 지방자치는 1960년 4·19 민주혁명의 열망 속에서 시행되었습니다. 이를 무위로 돌린 것이 5·16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정권이었습니다. 이후 독재의 그늘에서 민주주의와 함께 표류하던 지방자치는 1990년 김대중 대통령의 단식투쟁을 계기로 다시 살아났습니다. 노태우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와 3당 합당으로 좌초될 위기에 처한 지방자치를 가까스로 살려낸 김대중 대통령은 지방자치가 곧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늘 이야기하였습니다. 분권과 참여 자치에 대한 신념을 정치적 자산으로 삼은 노무현 대통령도 1993년 '지방자치실무연구소'를 직접 설립하고 운영할 만큼 지방자치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지방자치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 바로 '지방자치법'입니다. 그런데 그 지방자치법 중에서도 '특별'히 특례가 적용되는 지방이 있습니다. 서울특별시와 제주특별자치도, 그리고 바로 우리 세종특별자치시입니다. 지방자치법 제197조 제2항을 보면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위·조직 및 행정·재정 등의 운영에 대해서는 행정체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례를 둘 수 있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그 법적 의미를 살리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과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두 법 모두 '특별자치'를 보장하기 위한 특별법이니 그 내용과 수준이 유사할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그 내용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금세 알 수 있습니다. 우선 제주도특별법은 그 양 자체가 481조로 방대합니다. 국제자유도시 관련 71개 조항을 제외하더라고 410개의 조항을 담고 있습니다. 그중 많은 조항들이 기존 법령에서 벗어나는 특례조항입니다.

특히, 교육과 아동 청소년 관련 특례만 58개입니다. '대통령 또는 부령으로 정하도록 한 사항을 제주도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라는 특례까지 포함하면 교육, 보육, 청소년에 관련 특례만 196개에 달합니다. 교육의원제도가 있고 기준을 충족하지 않아도 교육지원청을 둘 수 있으며 교육부 출신의 부교육감에 더해 제주도 교육 현장을 잘 아는 부교육감을 추가로 임명할 수 있습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1만분의 157을 우선 교부받을 수 있고 도의회의 의결에 따라 정부가 정하는 기준보다 많은 지방채를 발행할 수도 있습니다.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에서 대통령령이나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을 도 조례로 정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세종시특별법은 세종시의 설치에 관한 30개의 기본 사항만 담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세종특별자치시에 부여된 자치권과 행정·재정 특례가 미비'합니다. 이는 대한민국 법제처의 공식 의견입니다. 법제처가 세종특별자치시의 보통교부세 및 지방교육재정보조금의 보정기간을 2023년까지 연장하는 이유로 제시한 의견입니다. '특례가 미비하여 세종특별자치시는 급증하는 행정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습니다.

정부의 의지는 있어 보입니다.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는 2018년 '자치분권종합계획' 6대 전략과 33개 과제를 발표하였습니다. 그중 '중앙-지방 및 자치단체 간의 협력 강화' 전략의 세 번째 과제가 '제주·세종형 자치분권 모델 구현'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특별자치'를 실감하는 세종 시민들은 거의 없습니다. 국회분원이 설치되고, 완전한 행정수도로서 개헌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세종 시민들의 삶과 직결되는 '특별자치'의 구체적 내용은 여전히 빈자리입니다.

만일 세종시가 제주도만큼의 특례를 누릴 수 있다면 시민들의 삶이 얼마나 더 좋아질까요? 만일 세종교육이 제주교육만큼의 특례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 세종 아이들의 배움과 삶은 얼마나 더 풍요로워 질까요? 신생 교육청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른 시도가 부러워하는 세종교육의 기반을 다질 때, 제주도 수준의 교육적 특례가 있었다면 지금 세종교육은 어디쯤 가 있을까요?

미래교육을 이야기합니다. 혹자는 AI, 메타버스, LMS 등 듣기에도 생소한 첨단 기술과 우리 교육을 버무려 미래교육을 상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미래교육은 상상의 영역이 아닌 구체적으로 만들어 가는 실감의 영역입니다. 어쩌면 세종의 미래교육을 만드는 일은 세종 '특별자치'의 빈자리를 메꾸어 가는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최교진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2. [현장]3층 높이 쓰레기더미 주택 대청소…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3. 차세대 스마트 교통안전 플랫폼 전문기업, '(주)퀀텀게이트' 주목
  4.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5. 유등노인복지관, 후원자.자원봉사자의 날
  1. 생명종합사회복지관, 마을축제 '세대공감 뉴-트로 축제' 개최
  2. [화제의 인물]직원들 환갑잔치 해주는 대전아너소사이어티 117호 고윤석 (주)파인네스트 대표
  3. 대전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남대 공동학술 세미나
  4. 월평종합사회복지관과 '사랑의 오누이 & 사랑 나누기' 결연활동한 동방고 국무총리 표창
  5.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헤드라인 뉴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년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가 2024년 가을 문턱을 넘지 못하며 먼 미래를 다시 기약하게 됐다. 세간의 시선은 11월 22일 오후 열린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이하 산건위, 위원장 김재형)로 모아졌으나, 결국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산건위가 기존의 '삭감 입장'을 바꾸지 않으면서다. 민주당은 지난 9월 추가경정예산안(14.5억여 원) 삭감이란 당론을 정한 뒤, 세종시 집행부가 개최 시기를 2026년 하반기로 미뤄 제출한 2025년 예산안(65억여 원)마저 반영할 수 없다는 판단을 분명히 내보였다. 2시간 가까운 심의와 표..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속보>="내 나름대로 노아의 방주 같아…'나는 자연인이다' 이런 식으로, 환경이 다른 사람하고 떨어져서 살고 싶어서 그런 거 같아요." 22일 오전 10시께 대전 중구 산성동에서 3층 높이 폐기물을 쌓아온 집 주인 김모(60대) 씨는 버려진 물건을 모은 이유를 묻자 이같이 대답했다. 이날 동네 주민들의 오랜 골칫거리였던 쓰레기 성이 드디어 무너졌다. <중도일보 11월 13일 6면 보도> 70평(231.4㎡)에 달하는 3층 규모 주택에 쌓인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청소하는 날. 청소를 위해 중구청 환경과, 공무원노동조합, 산성동 자율..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 `혁신적 역발상` 통했다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 '혁신적 역발상' 통했다

세종의 높은 상가공실 문제를 감추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내 문제 해결을 노린 혁신적 역발상의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가 실수요자들의 큰 관심 속에 막을 내렸다. 상가 소유주와 실수요자를 연결함으로써 상가공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으로 20일부터 21일까지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이번 박람회에는 이틀간 1000여 명이 현장을 방문했고 프랜차이즈 부스에서는 6건의 실제 가맹계약이 성사됐다. 여기에 박람회 이후 10개 팀이 실제 상가 현장을 찾았으며 추가로 방문 예약..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