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봄철 냉해, 여름철 잦은 강우와 폭염 등으로 나무의 종자생산량이 감소한 점도 아쉽다.
기후변화가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라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는 걸 실감한다.
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목재라는 유기물로 탄소를 저장한다.
시간이 지나 벌채 수확된 나무는 목제품으로 탄소를 계속 저장하게 되며, 그 자리에는 다음 세대의 나무가 자라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탄소흡수 그릇이 커지는 것이다.
이미 UN에서는 나무 심기를 비용대비 효과성이 높고, 빠르고 부작용 없는 탄소 중립 실천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1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을 포함한 '신 산림전략'을 발표했고, 이번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도 산림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다.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전략에도 산림 흡수원 활용이 포함되어 있어, 앞으로 나무 심기 노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우선 잘 자랄 수 있는 나무를 심어야 한다.
적지적수(適地適樹), 즉 그 지역에 맞는 나무가 필요한데 나무는 생장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미래의 기후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 한반도 평균기온은 1.5도 상승했고, 앞으로 우리 숲의 수종구성이 변한다고 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종자의 품질을 높여서 우량한 묘목을 생산하는 것이다.
규격화된 묘목의 사용은 식재 이후 묘목 초기 생존율과 함께 작업 효율도 높여서 조림의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손이 많이 가던 묘목생산은 농촌의 일손부족과 고령화로 인해 자동화가 많이 진행 중이다.
온실의 환경제어, 자동화된 급배수 시설, 운반장치 등과 함께 규격화된 포트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파종이나 생육관리는 자동화가 더딘 부분이다.
파종이나 생육관리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투입되는 종자의 발아율과 순도 등 품질을 높이고 크기와 모양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번에 준공한 산림종자처리동 '산씨움터'에서 생산되는 종자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수종의 종자를 원스톱으로 처리하고, 대용량 건조, 비파괴 검사를 통한 정밀선별, 종자코팅, 발아촉진 처리 등이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종자와 묘목생산에 걸쳐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센터 입구 표지석에는 과거 치산녹화시대의 주역이신 선배님들의 긍지와 자부심이 느껴지는 '산림부국은 우량한 종자로부터'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기후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는 '탄소중립은 우량한 종자로부터'로 바꿔 새기고 차분히 하나씩 준비할 것이다. <최은형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